주담대 막았더니 가계대출 '쑥'…은행권, 대출 총량 조절에 '골머리'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1 12:38:54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했던 가계대출이 이달들어 1주일동안 2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줄이라는 압박을 받고 있는 은행권은 총량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758조9734억원이었던 7월 말에 비해 오히려 1조9111억원 늘었다. 하루평균 약 273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6·27 대출 규제 직후 꺾였던 7월(하루 약 1335억원) 증가세보다 2배 많았다.

이처럼 8월들어 가계대출이 급증한 것은 신용대출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달 1~7일 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1주일 사이에 1조693억원으로 하루평균 1528억원이 증가했다. 반면 같은시기 주택담보대출은 7월 증가세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하루평균 5796억원 늘었다.

금융권은 신용대출이 크게 늘어난 원인으로 최근 주식시장 호황과 공모주 청약으로 인한 '빚투'로 지목했다. 이달초 바이오·정밀화학 분야의 기업들이 상장을 앞두고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는데, 청약 증거금을 마련하기 위한 신용대출 수요가 늘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달들어 공모주 청약에 각 3~13조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또 6·27 대출 규제 이전 주택계약 관련 잔금 대출 등의 실행과 규제 후속 조치로 금융당국의 추가 대출 제한을 예상한 이들의 선수요가 반영돼 신용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다양한 이유로 가계대출이 무서운 기세로 늘어나자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을 줄이기 위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재 은행들은 올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을 기존 목표 대비 절반으로 줄이라는 금융당국 가이드라인에 따라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을 집중적으로 줄이고 있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교육세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전체적인 가계대출과 이자수익을 절제해야 하는데, 되레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들은 이미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 접수를 일제히 막는 등 가계대출 총량 조절에 나섰다. 하나은행·NH농협은행·신한은행의 대출모집인은 현재 9월 실행 예정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실행 시점에 상관없이 아예 대출모집인의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한 상태다. 일부 모집인이 "규제 전에 서둘러 대출받으라"는 식으로 소비자를 부추긴다는 지적 때문이다. 또 신한은행의 경우 10월까지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소유권 이전 등 조건부 전세대출을 내주지 않기로 했고,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대출 등도 전국 단위에서 막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대출 절벽까지 가는 상황을 막기 위해 주담대 모기지보험을 제한해 대출 한도를 줄이거나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 조기 상환을 유도하는 등 비가격적 조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日 규슈 400mm '물폭탄'…잠기고 무너지고 '아비규환'

11일 일본 규슈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침수와 산사태, 하천 범람 피해가 잇따르며 사망·실종자가 속출했다. 일본기상청은 구마모토현 다

캐나다 1주일째 '활활'...720건 넘는 산불에 '속수무책'

캐나다가 1주일째 대형산불로 신음하고 있다.10일(현지시간) 캐나다산불센터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725건의 산불이 진행중이다. 연방 정부는 군과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