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했던 가계대출이 이달들어 1주일동안 2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줄이라는 압박을 받고 있는 은행권은 총량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845억원으로 758조9734억원이었던 7월 말에 비해 오히려 1조9111억원 늘었다. 하루평균 약 273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6·27 대출 규제 직후 꺾였던 7월(하루 약 1335억원) 증가세보다 2배 많았다.
이처럼 8월들어 가계대출이 급증한 것은 신용대출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달 1~7일 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1주일 사이에 1조693억원으로 하루평균 1528억원이 증가했다. 반면 같은시기 주택담보대출은 7월 증가세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하루평균 5796억원 늘었다.
금융권은 신용대출이 크게 늘어난 원인으로 최근 주식시장 호황과 공모주 청약으로 인한 '빚투'로 지목했다. 이달초 바이오·정밀화학 분야의 기업들이 상장을 앞두고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는데, 청약 증거금을 마련하기 위한 신용대출 수요가 늘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달들어 공모주 청약에 각 3~13조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또 6·27 대출 규제 이전 주택계약 관련 잔금 대출 등의 실행과 규제 후속 조치로 금융당국의 추가 대출 제한을 예상한 이들의 선수요가 반영돼 신용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다양한 이유로 가계대출이 무서운 기세로 늘어나자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총량을 줄이기 위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현재 은행들은 올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을 기존 목표 대비 절반으로 줄이라는 금융당국 가이드라인에 따라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을 집중적으로 줄이고 있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교육세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전체적인 가계대출과 이자수익을 절제해야 하는데, 되레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들은 이미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 접수를 일제히 막는 등 가계대출 총량 조절에 나섰다. 하나은행·NH농협은행·신한은행의 대출모집인은 현재 9월 실행 예정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실행 시점에 상관없이 아예 대출모집인의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한 상태다. 일부 모집인이 "규제 전에 서둘러 대출받으라"는 식으로 소비자를 부추긴다는 지적 때문이다. 또 신한은행의 경우 10월까지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소유권 이전 등 조건부 전세대출을 내주지 않기로 했고, 1주택 이상 보유자의 전세대출 등도 전국 단위에서 막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대출 절벽까지 가는 상황을 막기 위해 주담대 모기지보험을 제한해 대출 한도를 줄이거나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 조기 상환을 유도하는 등 비가격적 조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