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고기 요리 팔아요"…'미식천국' 이탈리아가 발칵

전찬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2 17:27:59
  • -
  • +
  • 인쇄
공인 레스토랑서 합법적 판매 논란
동물보호가들 "혐오스럽고 부도덕"
▲곰은 이탈리아에서 멸종위기 보호종에 속한다


이탈리아의 한 식당에서 곰 고기 메뉴가 인기를 끄는 가운데, 동물보호가들의 날 선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영국 더타임스는 이탈리아 북동부 트레비소의 '알 푼틱'(The Al Puntic) 레스토랑이 최근 곰 고기를 활용한 스튜와 폴렌타를 18유로(약 2만 4000원)에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폴렌타는 옥수수 수프의 일종으로, 이탈리아 전통 가정식이다.

곰 고기 맛은 어떨까. 모니카 파카녤라(Monica Paccagnella) 알 푼틱 매니저는 "노루, 붉은사슴과 비슷한 맛인데, 사슴보다는 더 달콤하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전세계에서 곰 고기를 소비하는 나라는 러시아, 일본, 핀란드 등 소수에 불과하다.

사실 곰은 이탈리아에서 멸종위기 보호종에 속한다. 동물보호가들이 곰 고기 판매 반대에 나선 주된 이유다. 심지어 북부 브레시아에 거주하는 한 동물보호가는 식당 주인을 향해 "당신이 브레시아에 있었다면 나는 음식에 곰이 아니라 당신을 넣었을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알 푼틱은 '완전히'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슬로베니아, 러시아, 스웨덴 등 곰 사냥이 가능한 국가에서 생산된 곰 고기는 수입과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당 식당은 슬로베니아산 곰 고기를 취급하는 공인 정육점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현지 매체에 의하면, 식당 주인은 "곰 고기를 맛보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우리 식당을 찾아온다. 앞으로도 곰 고기 메뉴를 계속 판매할 것"이라고 밝혔다. 동물보호가들의 계속되는 비판에 알 푼틱의 다비데 페트랄리아(David Petralia) 변호사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곰 고기는 합법적으로 수입됐다. 이를 향한 동물보호가들의 모욕적인 발언은 명예훼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동물보호가로 활동하고 있는 미켈라 비토리아 브람빌라(Michela Vittoria Brambilla) 前 이탈리아 관광부 장관은 곰 고기 메뉴에 대해 "혐오스럽고 부도덕하다"며 "슬로베니아에서 곰 고기를 수입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도덕적 범죄"라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기후/환경

+

[새 정부에 바란다] "기후경제부 중심으로 녹색산업 성장시켜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