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롬비아 아마존 삼림벌채…코카재배 아닌 목축?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2 08:50:02
  • -
  • +
  • 인쇄
'마약과의 전쟁' 40년간 열대우림 삼켜
"코카재배 면적은 목축업의 1/60 불과"

콜롬비아 아마존 삼림벌채의 주원인이 소 목축인 것으로 밝혀졌다.

2월 초 코카인이 지난 40년간 콜롬비아 아마존을 파괴한 주범으로 지목돼왔으나, 코카인이 아닌 가축사육이 그 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18년 기준 코카인의 원료인 코카 재배를 목적으로 개간된 산림면적이 목축에 사용된 것의 1/60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목축용 개간지는 아마존 열대우림의 300만 헥타르 이상, 그에 비해 코카 재배용 개간지는 4만5000헥타르에 불과해 코카의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를 이끈 파울로 무리요-산도발 콜롬비아 톨리마대학 교수는 "코카가 삼림벌채의 원인이라는 이야기를 근절하고 싶다"고 밝혔다.

삼림벌채는 2016년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이 정부와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무기를 내려놓으면서 급증했다. 2017년 삼림벌채 면적은 21만9973헥타르, 전년 대비 23%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시 이반 두케 콜롬비아 전 대통령은 코카재배로 인한 환경파괴를 코카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군사적 탄압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했다. 2015년 글리포세이트 제초제가 금지되자 두케 정부는 코카작물에 글리포세이트를 살포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헬리콥터와 무장병력을 아마존 열대우림에 투입해 코카 농민들을 탄압했다.

안젤리카 로하스 콜롬비아 환경싱크탱크 '환경보전 및 지속가능발전재단' 연락담당자는 이전 정부가 코카 농부들을 억압하고자 환경을 잘못된 명분으로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정작 삼림벌채를 막는 데는 관심이 없었고 진정한 정치적 목표인 코카 제거에 더 혈안이 돼있었다는 것이다.

게다가 연구진은 콜롬비아의 "마약과의 전쟁"이 수십억 달러를 들이고 생명까지 희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코카 생산을 중단시키는 데 실패했으며 오히려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고 분석했다.

무리요 교수는 농부를 탄압해봤자 숲 속으로 불과 몇 킬로미터 더 깊이 들어가 새 경작지를 일굴 뿐이라며 "마약과의 전쟁은 40년 전부터 시작됐지만 코카 재배는 변함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정부가 코카 농부들과 두더지잡기 게임을 벌이는 사이 삼림벌채의 주범인 목축업이 열대우림을 삼켰다. 연구진은 콜롬비아 토지규제의 결함이 열대우림을 척박한 목초지로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카를로스 데비아 콜롬비아 자베리아나대학 산림토목기술자는 "토지소유자가 권리를 인정받으려면 소유지의 75%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하는데, 목장규제가 없는 탓에 농부 입장에서는 작물을 재배하는 것보다 소를 풀어두는 일이 훨씬 쉽다"고 설명했다. 가령 소는 100헥타르의 땅에 10마리만 풀어놔도 되는 반면 감자나 옥수수는 1헥타르만 소유해도 1년간 중노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땅이 없는 농부들 또한 열대우림을 수 헥타르씩 개간해 범죄조직원들에게 불법 판매하기도 한다. 이렇게 거래된 숲들은 결국 메마른 목초지로 변모한다.

이에 지난해 8월 취임한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실패한 콜롬비아의 마약퇴치전략을 180도 전환한 것을 제안했다. 그는 강제적인 코카근절에서 초점을 돌려 농부들에게 수백만 헥타르의 토지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페트로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에서 "마약사용을 줄이는 일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에게 필요하며 여기에는 전쟁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절약하면 현금 주는데도...'탄소중립포인트' 이용률 고작 29%

국내에서 친환경 소비촉진을 위한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이용률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13일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성인 소비자 32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