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경로 바뀌면 원주민 공동체도 영향
북극 해빙이 감소하면서 북극고래(bowhead whale)의 이동양상이 변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오리건주립대학(OSU) 연구진은 북극 해빙이 감소하면서 북극고래들이 베링해협 북부에 머무는 빈도가 늘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장기적으로 고래 개체군의 건강 및 고래에 의존하는 원주민 공동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태평양 북극에서 발견되는 북극고래는 대개 베링해 북부에서 겨울을 나고 봄에 캐나다 보퍼트해로 이동해 여름과 가을을 보낸다. 겨울이 되면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추크치해에 빙하가 형성돼 베링해로 향하는 유일한 길목이 닫힌다. '베링~추크치~보퍼트' 경로로 이동하는 북극고래 무리는 북극 4개 개체군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구진이 해빙·기상정보와 함께 11년동안 고래 울음소리를 분석한 결과, 최근 몇 년간 해빙이 감소하면서 일부 고래들은 남부 추크치해에서 겨울을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음 감소로 고래의 주요 서식지가 사라져 겨울이 돼도 고래들이 더이상 북극을 떠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연구진은 해빙이 적은 해에는 봄철에 북부로 이동하는 시기가 앞당겨진다는 점도 발견했다. 얼음이 줄고 개방수역이 늘어 봄철 이동시기가 약 한 달 정도 빨라졌다는 것이다.
안젤라 세지오카(Angela Szesciorka) OSU 해양포유류연구소 연구원은 지난 10년간 북극온난화로 해빙이 감소하면서 겨울철 베링해가 개방되는 기간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빙하가 사라지면 고래에 의존하는 원주민들의 삶에 변화가 생길 것"이라며 "다른 종들이 북극으로 유입돼 자원경쟁, 포식자 증가, 또는 선박충돌이나 어구와 같은 인간의 영향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수염고래의 일종인 북극고래는 1년 내내 북극과 아북극 해역에 사는 유일한 고래다. 몸길이 19~24m, 무게는 최대 80~100톤(t)까지 나가며 큰 두개골을 사용해 최대 45.7cm 두께의 해빙을 뚫고 요각류 및 크릴과 같은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수명은 최대 200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1800년대와 1900년대 초반 상업포경으로 개체수가 급감했다. 이에 1970년대에 미 연방 멸종위기종법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면서 점차 개체수가 회복돼 현재 대략 2만50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빙은 북극고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캐슬린 스태포드(Kathleen Stafford) OSU 박사는 "느리게 움직이는 동물들은 포식자들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피난처로 해빙을 이용할 수 있고, 얼음으로 뒤덮인 물은 개체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북극의 해빙은 1979년 이후 10년마다 약 13% 감소했으며 표면 온도는 당시 지구평균보다 4배 빠르게 올라갔다. 만년설이었던 추크치해의 해빙은 여름이 될 때마다 녹아 수명이 일년생으로 줄었다.
연구진은 고래의 이주변화가 북극고래에 의존해 영양적, 문화적, 정신적 생존을 이어가는 원주민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고 지역사회의 식량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해빙이 사라지면서 베링해협으로 통하는 길목이 범고래 등의 포식자와 상선들에게 개방된다는 위험도 있다.
세지오카 연구원은 "온난화로 매우 빠르게 변하는 북극에서 어떤 영향이 생겨날지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극고래가 "대개 선박을 마주해온 경험이 없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를 수 있다"며 해빙손실로 선박 교통량이 늘 때 북극고래가 선박에 충돌하거나 어구에 얽힐 가능성이 얼마나 될지 조사할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번 연구결과는 '운동생태학(Movement Ecology)'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