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로마의 휴일' 분수대에 검은액체 '콸콸'...도 넘은 환경단체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03 15:23:44
  • -
  • +
  • 인쇄
▲로마 관광 명소인 '바르카치아 분수대'에 먹물을 뿌리는 환경단체(영상=@ChrisRicchiuti)

유명 명화에 접착제를 붙이거나 야채수프를 끼얹는 등 과격 시위로 논란이 됐던 환경단체가 이번에는 로마의 명물인 분수대에 먹물테러를 가해 비판을 받고 있다.

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환경단체 '울티마 제네라지오네'(마지막 세대)는 이탈리아 수도 로마에 있는 스페인광장 계단 아래에 있는 배 모양의 분수 '바르카치아 분수대'에 검은 액체를 쏟아붓으며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말자'고 적힌 현수막을 펼쳐들었다.

이들의 시위행동에 놀라는 대중들에게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심각한 가뭄 등 기후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행동이 충격을 준다는 건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분수대에 뿌린 검은 액체는 숯으로 만든 먹물이었다.

먹물테러가 벌어진 분수대는 1629년에 만든 것으로, 1953년 개봉한 명작 '로마의 휴일'에서 오드리 햅번이 젤라토를 먹은 장소로 알려지면서 전세계적인 명소가 됐다.

로마의 명소에 먹물을 뿌린 이들은 공공 건축물 훼손 등 혐의로 경찰에 연행됐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분수대는 이날 오후까지도 먹물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모습이었다.

로베르토 구알티에리 로마 시장은 SNS를 통해 "로마는 기후변화 대응과 예술적 문화예술 보호에 앞장선다"며 "바카라치아에 검은 액체를 붓는 것은 환경에 도움을 주지도 않고 절대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울티마 제네라지오네는 명화를 훼손하는 과격한 시위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지난해 7월 피렌체 우피치 갤러리에서 산드로 보티첼리의 명화 '프리마베라'(봄) 작품을 보호하는 유리에 접착제로 자신들의 손을 고정한 채 시위를 벌였고, 같은 해 11월에는 로마 보나파르테 궁전 미술관에 전시된 빈센트 반 고흐의 '씨뿌리는 사람' 작품에 야채수프를 끼얹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대한적십자사와 '기부신탁' 업무협약 체결

우리은행이 대한적십자사에 적십자회비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우리은행이 성숙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대한적십자

KB국민은행,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노트북PC 지원

KB국민은행이 새내기 장애대학생 135명에게 최신형 노트북과 학습보조기구를 지원했다고 14일 밝혔다.KB국민은행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지금까지 2

하나은행, 지역 상생 '대전 D-도약펀드' 1000억원 출자

하나은행이 지역 상생을 위해 '대전 D-도약펀드'에 1000억원을 출자한다. 하나은행이 대전광역시, 대전투자금융과 함께 지역 스타트업 혁신성장 지원 및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1조원 출자'

포스코홀딩스가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회사 유상증자에 총 9226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포스코

CDP 환경평가 A등급 기업은 2만2777개 중 2%에 그쳐

지난해 전세계 2만2700여개 기업 가운데 환경성과 평가에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2%에 불과했다.국제비영리기구 CDP(옛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가 지난해

국내 기업 69.6% "탄소중립 경쟁력에 도움"...그러나 현실은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리스크 때문에 선뜻 실행하기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기후/환경

+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EU 기후목표' 환영했던 오스트리아 입장 돌변...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2040 온실가스 90% 감축'을 가장 먼저 환영했던 오스트리아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EU 권고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나서

트럼프, 국가기후평가 직원 400명 해고…美보고서 발간 종료?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기후평가(National Climate Assessment) 보고서 작성을 주도해온 과학자 및 연구자 약 400명을 해고했다. 이들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절약하면 현금 주는데도...'탄소중립포인트' 이용률 고작 29%

국내에서 친환경 소비촉진을 위한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제 이용률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13일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성인 소비자 32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