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독일은 '전력수출'...친원전 프랑스는 '전력수입'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4-27 12:29:16
  • -
  • +
  • 인쇄
폭염에 가동중지...LNG사재기로 국제적 민폐
동일설계 반복건설탓 "한국에도 중요한 교훈"
▲일본 후쿠시마 원전 내에 오염수를 저장해놓은 저장탱크들 (사진=연합뉴스)


원전에 대한 맹신으로 에너지 위기를 대응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전환포럼이 27일 발간한 '독일의 에너지전환 실적과 탈원전의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은 준전시상황에도 꾸준히 탈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병행한 덕분에 전력 수출량이 늘어났다고 평가했다. 반면 원전에만 의존했던 프랑스는 원전 결함이 발생하면서 에너지 대란을 겪었다는 것이다.

독일은 지난 16일(현지시간) 0시를 기해 마지막 남은 원전 3기의 전원을 껐다. 폐쇄 시점에 대한 의견은 갈렸지만, 원전에 대한 독일 국민들의 반대 여론이 워낙 압도적이었기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독일 시사주간지 슈테른이 지난달 30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응답자의 74%는 태양광을 선호했고, 65%는 풍력을 선호한데 비해, 원전에 대한 선호도는 28%에 그쳤다.

현재 독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48%다. 지난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년보다 8.5% 늘었고, 재생에너지 전력 수출량도 7.3%나 증가했다. 지난해 유럽은 전례없는 폭염으로 전력소비량이 급증했다. 이 시기에 프랑스와 스위스, 오스트리아는 냉각수 이상으로 원전 발전량이 감소한데다 강 수위가 낮아져 수력발전도 줄어들어 전력난을 겪었지만, 독일은 전력난을 겪지 않았다. 오히려 주변국들에게 전력을 수출했다.

전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투자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BNEF)는 지난 2022년 한해에만 전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액이 4950억달러(약 659조원)에 달했다고 했다. 지난해 전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29.9%를 기록한 반면 원전 발전비중은 9.2%로 2000년 16.8%보다 크게 감소했다. 원전이 더는 경쟁력 있는 에너지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자료=에너지전환포럼)

독일에 비해 원전을 맹신했던 프랑스는 원전 무더기 가동중단으로 현재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는 중이다. 프랑스는 같은 설계도로 계속해서 원전을 반복 건설해왔다. 이 때문인지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노후 원전들에서 심각한 냉각배관 균형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이에 프랑스는 56기 원전들의 냉각배관을 정밀조사하고 있다.

결국 가동중단 원전이 늘어나면서 프랑스 전기요금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가동중단 원전들이 10여기였던 지난해 상반기 프랑스의 평균 도매 전기요금이 메가와트시(MWh)당 224.6유로에 달했다. 같은시기 독일의 전기요금은 178.4유로로 26%나 차이났다. 원전을 무더기 가동중단했던 지난해 8월 프랑스의 선물 도매 전기요금은 MWh당 무려 1130유로까지 올랐다. 당시 프랑스 전력을 제공해준 독일의 선물 전기요금도 덩달아 995유로까지 폭등했다.

원전 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었던 프랑스는 에너지 대란을 극복하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사재기에 나섰다. 이 때문에 LNG 국제가격이 폭등했다. 원자재 거래조사업체 케이플러(Kpler)가 올 1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프랑스의 LNG 수입량은 2490만톤으로, 유럽 전체 수입량 9470만톤의 25%를 차지했다. 프랑스가 수입한 LNG 가운데 580만톤은 러시아산이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불똥을 맞았다. 지난 2020년만 해도 우리나라는 미국 LNG 수출량의 13.2%를 차지했는데 2022년에 7.6%로 쪼그라들었다. 프랑스가 미국산 LNG를 1200만톤이나 수입한데 따른 것이다. 이로 인해 2021년 천입방피트당 7.5달러였던 미국산 LNG는 2022년 12.5달러로 67%나 치솟았다.

에너지전환포럼은 "결국 한국은 프랑스 등 유럽국가들에게 밀리면서 미국보다 LNG 가격이 비싼 호주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수입해야 했다"면서 "프랑스의 사례는 OPR-1000, APR-1400 원전의 반복 건설을 통해 건설비를 저감해온 국내에도 중요한 교훈을 준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텀블러 세척기 사용후기 올리고 상품받자'...LG전자, SNS 이벤트

스타벅스 등 커피 매장에서 LG전자 텀블러 전용세척기 'LG 마이컵(myCup)'을 사용한 후기를 소셜서비스(SNS)에 올리면 LG 스탠바이미나 틔운 미니 등을 받을

올해만 5번째 사망자...李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강하게 질타

올들어서만 4번의 사고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를 받았다. 고용노동부는 포스코이앤씨 본사와 전국 65개 공사

폭염에 맨홀 사망자 또 발생...서울 상수도 작업자들 질식사고

한낮 최고기온이 38℃까지 치솟는 폭염 속에서 맨홀 작업을 하던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 이 작업자들은 맨홀로 진입하기전에 안전여부

LG전자 "자원순환 캠페인으로 폐배터리 100톤 수거"

LG전자가 고객 참여형 자원순환 캠페인 '배터리턴'으로 폐배터리를 100톤 이상 수거했다고 29일 밝혔다.배터리턴 캠페인은 LG전자 청소기의 폐배터리 등

기후/환경

+

"온실가스도 車배기가스 규제도 폐지"...美 환경규제 '흔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환경규제의 근간이 되는 온실가스 평가를 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제한도 폐지할 계획이다.리

밭에서 익어버린 단호박…폭염에 농산물과 축산 피해 잇달아

단호박이 밭에서 그대로 익어버리는 등 폭염에 농작물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제주시 한경면에서 미니 단호박 농사를 짓는 제주볼레섬농장 대표는 지

전담부서 해체한 美 'COP30' 불참할듯...기후리더십 中으로 이동?

미국이 올해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근 유럽연합(EU)과 기후협력까지 맺은

업종별 배출량 전망 모두 빗나갔다...엉터리 통계로 NDC 수립한 尹정부

윤석열 정부 시절에 산업 부문 탄소배출량 감축목표를 기존 14.5%에서 11.4%로 낮추는 근거로 삼았던 당시 산업연구원의 2024년 배출 전망이 완전히 빗나

캄차카반도에 '8.7 초강진'...일본·러시아 쓰나미 경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동부 오호츠크해에 접한 캄차카반도에 대규모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근처 지역에 재난 가능성이 우려된다.러시아와 일본에는 '

[날씨] 38℃ 펄펄 끓는 '중복'...내륙은 '열저기압' 발생

중복인 30일에도 한낮 최고기온은 32∼38℃에 달하는 폭염이 이어지겠다.대전은 38℃, 서울과 대구는 36℃, 광주는 35℃, 인천·울산·부산은 33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