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없어 외면받던 '리베리카' 커피시장 구원투수로?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2 14:08:45
  • -
  • +
  • 인쇄
야생 리베리카의 맛과 향 개량한 품종
기후변화에 강하고 수익성도 보장돼

기후변화로 아라비카 등 품종 커피의 재배량이 급감하는 가운데 우간다에서 기후위기에 잘 견디는 '리베리카 엑셀라(Liberica excelsa)' 개량 커피 품종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이 품종이 기후위기에 강할 뿐만 아니라 지역 농가의 소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리베리카 커피는 원래 열대 아프리카에서 자생하던 종으로, 고온 등 극한 기후에 강하다. 이 품종은 19세기에 발견됐지만 열매가 더 늦게 열리고 더 맛이 좋은 품종이 개발되면서 시장에서 퇴출됐다.

그러나 사람들이 즐겨 마시던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품종 커피가 기후변화로 인해 원두 재배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자, 이를 대체하는 품종 개발이 시급했다. 이에 우간다 국립농업연구원(NARO) 커피연구소는 기존 야생 리베리카의 맛과 향을 개량해 새로운 리베리카 엑셀라 원두를 개발했다.

우간다 국립농업연구원(NARO) 커피연구소 소속 캐서린 키우카(Catherine Kiwuka) 연구원은 "리베리카 엑셀라 원두로 아라비카와 로부스타를 대체할 수 있고 병충해도 강해 지역 농가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NARO와 함께 리베리카 개량 연구를 진행중인 영국 큐 왕립식물원(Royal Botanic Gardens, Kew)의 커피과학자 애런 데이비스(Aaron Davis) 박사는 "사실 개량전 리베리카 품종은 맛이 없었지만 이번 리베리카 엑셀라 품종을 맛보고 생각이 바뀌었다"며 "향후에는 리베리카 등 다양한 야생 품종이 세계 커피 공급 시장을 주도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네이처(Nature)지에 발표되기도 했다. 키우카 연구원은 "이는 야생의 종을 보호해 종 다양성 보존하는 것이 얼마나 필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라며 "야생 커피 품종의 중요성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리베리카를 시험재배한 현지 농부들은 이 품종에 대해 호평 일색이다. 우간다에서 커피 농사를 짓는 골루바 존(Golooba John)씨는 "더위가 아무리 심해도 상관없다"며 "예전 로부스타를 키울 때는 병충해와 병에 시달렸는데 리베리카는 해충와 전염병에도 강하다"고 말했다. 현재 존 씨는 1000개가 넘는 로부스타 나무를 모두 리베리카 나무로 교체했다. 그는 "나도 리베리카를 즐겨 마시는데 향이 아주 좋다"고 말했다.

또다른 농부 데오그라티우스 오청(Deogratius Ocheng)씨는 "지난 가뭄이 심했을 때 2에이커의 로부스타 나무는 다 고사했지만 남은 2에이커에 심어둔 리베리카 나무는 살았다"며 "만약 로부스타애만 의존했으면 지금쯤 빈털터리가 됐을 것"이라고 했다.

키우카 연구원은 "향후 목표는 리베리카 엑셀라 품종을 더욱 개량해 수출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라며 "현재 리베리카 원두는 로부스타 원두와 섞어팔고 있다"며 "개량과 고급화 전략에 박차를 가해 리베리카 원두가 단독으로 판매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