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주변 거주자 20억명 피해예상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대형 호수와 저수지의 물이 절반 이상 증발해 버렸다.
미국 버지니아대학(University of Virginia)과 콜로라도대학(University of Colorado) 등 국제연구팀은 전세계 최대 호수 53개를 분석한 결과, 1992~2020년동안 저수량이 53%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고 1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을 통해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 카스피해에서 남미 티티카카 호수에 이르기까지 전세계 주요 호수들은 30년동안 저주량이 연간 약 22기가톤씩 사라졌으며, 지금까지 잃은 물의 양은 603km³에 달했다. 이는 미국에서 가장 큰 저수지인 미드호수의 약 17배에 달하는 양이다.
물이 마르는 이유로 온난화와 물 소비증가 등이 꼽힌다. 연구를 주도한 버지니아대학의 수문학자 팡팡 야오(Fangfang Yao) 교수는 "자연호수 감소의 56%가 지구온난화와 인간의 소비에 의한 것이며, 온난화가 그 중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호수 증발 속도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점점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텍사스 A&M대학교(Texas A&M University)의 후이린 가오(Huilin Gao) 교수가 주도한 다른 연구에 의하면 지난 33년동안 호수 증발 속도는 58% 빨라졌다. 가오 교수는 "호수의 표면적이 19% 증가하면서 증발량은 매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중앙아시아의 아랄해와 중동의 사해는 인간의 사용으로 인해 호수가 불가역적으로 말라가고 있으며 기온 상승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 이집트, 몽골에 위치한 호수들의 수위도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데 연구에 의하면 건조한 지역뿐만 아니라 습한지역에 위치한 호수에서도 물이 마르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해 건조한 지역이 더 건조해지고 습한 지역이 더 습해질 것이라는 기존의 예측과는 상반된 관측이다.
야오 교수는 "아직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호수 주위에 수많은 사람들이 산다는 것"이라며 "이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세계 인구의 약 4분의 1이 매말라가는 호수 주변에 살고 있다. 연구의 공동저자인 발라지 라자고팔란 콜로라도대학 교수는 "호수는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는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그는 "호수는 물 안보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모니터링되지 않는다"며 "약 20억명의 사람들이 이번 연구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에 살고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