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탄소거래소 본격 가동...'자발적 탄소시장' 탄력받을까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6-09 14:25:26
  • -
  • +
  • 인쇄
CIX 익스체인지 첫날 거래량 1만2000주
자발적 탄소시장 선도 '탄소 허브' 구상


싱가포르가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본격 가동하면서 민간에서 온실가스 감축실적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VCM)이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8일(현지시간) 싱가포르 국제탄소배출권 거래소 '클라이밋 임팩트 X'(CIX)가 스팟 거래플랫폼 'CIX 익스체인지'를 개설하고 첫 거래를 마쳤다. 하나증권,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중국국제금융공사, 셰브론 등이 참여한 첫날 거래량은 탄소배출권 1만2000주로 마무리됐다. 시작가격은 1주당 5.36달러(약 6940원)였다.

탄소배출권 1주는 검증된 온실가스 저감사업을 통해 확보한 1톤의 감축실적을 나타낸다. 검증된 저감사업은 케냐의 카시가우 회랑 REDD+프로젝트, 페루의 코르딜레라 아줄 국립공원 REDD+ 프로젝트, 인도네시아의 림바 라야 생물다양성 보호구역 프로젝트 등 11개 프로젝트다.

싱가포르는 그동안 구축해온 역내 '비즈니스 허브' 지위를 지렛대 삼아 세계적인 탄소거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구상이다. 국제탄소배출권 거래주체들로부터 탄소배출권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추후 활성화될 탄소선물시장에서 가격결정자 역할을 맡기 위한 준비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탄소배출권 거래활성화를 통해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상승시키는 일은 중요하다. 당분간 현행 저감기술이나 정책으로는 단기간에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려워 탄소배출권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고, 탄소 저감기술과 사업에 대한 발굴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당 기술이나 사업을 발굴하더라도 그에 따른 실적이 거래되는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면 상품성이 떨어지고, 배출권 가격이 하락하면서 시장동력이 약화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실제로 환경 원자재 시장 인프라 플랫폼인 엑스팬시브(Xpansiv)가 출범시킨 탄소배출권 거래소 CBL에서 탄소배출권은 1주당 1.15달러(약 149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배출권 판매자들 입장에서는 5~10달러를 적정 수준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아직 공인된 국제시장이 없어 체계적인 검증시스템이 부재한 탓에 '그린워싱' 사례가 급증했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탄소배출권 거래로 신뢰도가 무너져내렸다. 이에 따라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가격도 회복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싱가포르는 이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환경친화기업 '화이트리스트'를 관리하고, 이들의 실적을 세계은행이 출범시킨 데이터 플랫폼 기후행동데이터재단(Climate Action Data Trust)에 공시해 탄소배출권의 신뢰도를 높였다. 또 CIX는 CBL과 달리 거래량이 적더라도 양질의 상품성을 갖춘 탄소배출권을 발굴해 거래량을 안정화시키겠다는 차별화 전략을 채택했다.

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선진국이나 기업들에 대한 규제 측면이 강했지만, 교토의정서를 통해 탄생한 청정개발체제(CDM)가 오는 12월 31일부로 파리기후변화협정에 따른 지속가능발전체제(SDM)로 전환되면서 배출권 거래 주체가 모든 당사국, 기업, 기관, 개인 등으로 확장된다. 이에 따라 민간에서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VCM)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맥킨지에 따르면 VCM 규모는 2030년에 이르면 2020년 대비 15배 성장하고, VCM 내 탄소배출권 수요는 20억톤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CIX가 공신력 있는 탄소배출권 거래플랫폼으로 자리잡게 되면 전세계 탄소자금이 몰리면서 싱가포르는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켈 라슨 CIX 대표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탄소배출권 시장은 침체기여서 더 나은 시기를 기다릴 수 있었지만, '탄소허브'로 거듭나는 일은 하루아침에 일어날 수 없다"며 "매번 외부요인에 휘둘리기만 하면 목표를 절대 이룰 수 없기 때문에 거래소를 지금 연 것"이라고 밝혔다.

싱가포르에 있는 한 탄소배출권 거래업자는 "싱가포르가 배출권 거래자들이 신용할 수 없는 저감사업들을 배제시키면서 유가의 기준이 되는 '브렌트유'처럼 탄소에 있어서도 핵심 벤치마크를 만들어내려는 시도로 읽힌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