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금융지원 방식으로 기후위기 못막는다" 경제학자의 일침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6-19 16:14:25
  • -
  • +
  • 인쇄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에 수조달러를 투자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후 취약국에 대한 원조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현지시간) 영국 그레셤대학교(Gresham College)의 아비나시 페르소드(Avinash Persaud) 명예교수는 옵저버 등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기후, 부채, 개발의 전체 연결고리를 완전히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재난의 영향을 받는 국가들은 지금 익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막기 위해서는 "투자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공공자금과 규제를 신중하게 사용해 세계은행 등 국제금융기관의 가용 재원을 3배로 늘리고 민간부문에서 막대한 현금을 유입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주장은 이달 22일(현지시간) 파리에서 개최될 예정인 새로운 글로벌 금융협정을 위한 정상회담(Summit for New Global Financing Pact)을 앞두고 나왔다.

독일, 중국, 브라질 등 50개국 정상들이 참여할 예정인 이번 회담에서는 '브리지타운 의제' (Bridgetown agenda)가 논의될 전망이다. 이는 바베이도스(Barbados)의 수도 브리지타운의 이름을 딴 글로벌 금융지원책으로 기후재앙에 직면한 최빈국들에 대한 부채 탕감, 세계은행(World Bank)을 포함한 세계 다자개발은행의 자금 지원 3배 확대 등을 골자로 한다.

미아 모틀리(Mia Mottley) 바베이도스 총리는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및 기타 기관의 운영방식을 개혁해 보증이나 장기 대출을 제공하는 등 개발도상국에 대한 민간부문의 기후 투자를 더 쉽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페르소드 교수는 이번 정상회담을 두고 "기후 보험, 탄소 상쇄를 통한 자금 조달, 녹색 채권과 청색 채권 등 다양한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모두 정답은 아니다"며 "민간부문이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유국의 보조금을 기다리는 것은 고도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며 기존의 기후 보조금을 비판하며 "해외 원조도 결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페르소드 교수는 극빈국의 녹색전환을 위해 주로 민간부문에서 연간 약 1조4000억달러가 필요하고, 기후위기의 영향에 적응하는 데 약 3000억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니콜라스 스턴(Nicholas Stern) 교수와 베라 송웨(Vera Songwe)의 다른 연구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의 경제를 변화시켜 배출량을 줄이고 기상이변의 영향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려면 연간 약 2조달러가 필요하다. 

지난해부터 세계은행을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기후위기가 가난한 나라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세계은행이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주장은 기후 회의론자였던 데이비드 맬패스(David Malpass) 전 총재가 올초 사임한 이후 더욱 거세지고 있다.

페르소드 교수는 "2차대전 이후 세계은행은 독일의 부채 상환액이 수출액의 3.5%를 넘지 않을 것이라고 공증했다"며 "이것이 기후 전쟁을 겪는 개발도상국들이 바라는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