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로 냉동고 끈 청소부...'25년치' 대학연구 날아갔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6-28 17:18:26
  • -
  • +
  • 인쇄

미국 뉴욕주에 있는 한 대학의 청소부가 알람이 성가시다는 이유로 영하 80도 냉동고 전원을 끄면서 25년치 연구자료가 한순간에 모두 날아갔다.

27일(현지시간) CNN, BBC 등 외신은 미국 렌슬리어공과대학(RPI)이 한 청소부의 실수로 25년간의 연구샘플이 모두 날아가 청소부의 고용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소송은 이달초 렌슬리어카운티에 위치한 뉴욕대법원에 제기됐으며, RPI 측은 청소부의 고용주를 상대로 100만달러 이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전원을 끈 청소부 당사자는 소송대상에서 제외됐다.

사건은 지난 2020년 9월 발생했다. BBC에 따르면 연구실 냉동고에는 KV 락슈미(KV Lakshmi) 생물화학과 교수가 이끄는 광합성 연구의 샘플 배양액 여러 개가 들어 있었다. 배양액은 보통 영하 80도에 보관된다.

당시 냉동고가 고장나 온도가 변동하고 있다는 경보가 울리고 있었지만, 코로나 봉쇄로 인해 일주일동안 수리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소송 내용에 따르면 냉동고의 샘플은 그때까지도 유지가 가능했다. 연구소 관계자들은 샘플 보존 조치를 취하고 경보가 발생하는 이유 및 위치, 음소거 방법을 설명하는 표지판을 게시했다. 담당교수인 락슈미 교수 또한 냉동고의 콘센트와 소켓에 자물쇠를 설치해 누구도 전원을 뽑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9월 17일, 수개월간 RPI에서 근무하고 있던 외부 청소관리업체 직원이 냉동고 회로 차단기를 끄면서 냉동고의 온도가 상승하고 말았다. 다음날 연구실 관계자들이 확인했을 때 샘플들은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됐다. 소송은 "20년 이상 유지되던 대부분의 표본이 훼손되고 파괴돼 복구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마이클 긴즈버그(Michael Ginsberg) RPI 측 변호사는 미 일간지 타임즈유니온(Times Union)과의 인터뷰에서 "부주의가 25년간의 연구를 완전히 날려버렸다"고 말했다.

해당 직원은 대학 관계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알람 소리를 듣고 차단기를 켠 줄 알았다고 말했다.

원고 측은 직원이 표지판을 잘못 읽어 일어난 일이라며 "당사자는 인터뷰가 끝날 때까지 여전히 자신이 잘못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