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바닷물 색깔이 변하고 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13 15:40:42
  • -
  • +
  • 인쇄
최근 20년새 검푸른색에서 녹색으로 변화
전세계 해양 56%에서 색깔변화가 발생해
▲NASA 아쿠아 위성이 2008년 12월 촬영한 노르웨이 북동부 해수면. 바다색이 녹색으로 변했다. (사진=NASA 홈페이지)

기후변화가 전세계 바닷물 색깔까지 바꾸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영국 국립해양학센터 연구팀은 2002년 발사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아쿠아(Aqua) 위성이 지난 20년간 모디스(MODIS) 센서를 통해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로 플랑크톤 개체군이 변화하면서 바닷물 색깔이 검푸른색에서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바닷물에서 반사되는 7개 가시광선 파장을 모두 분석해 녹색 식물성 플랑크톤인 클로로필의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적도 부근 열대·아열대 해역을 중심으로 전세계 해양 56% 면적에서 색깔 변화가 일어났다. 이 규모는 지구상의 모든 육지를 합친 것보다 더 넓은 면적이다.

바다의 색은 표층수를 구성하는 물질에 의해 달라진다. 클로로필 등 엽록소를 지닌 식물성 플랑크톤은 녹색을 띠고 있어, 이 플랑크톤이 많을수록 바닷물 색은 녹색에 가까워진다. 가령 홍수, 태풍 등으로 육지나 해저에서 영양분이 과다유입돼 '부영양화'가 발생하면 플랑크톤이 대규모로 번식해 바닷물 색이 녹색으로 변할 수 있다.

크기가 다른 플랑크톤은 빛을 다르게 산란시키고, 색소가 다른 플랑크톤은 빛을 다르게 흡수한다. 색의 변화를 조사하면 전세계 플랑크톤 개체군의 변화를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기후변화와의 연관성도 파악했다. 대기중 온실가스 증가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바닷물 색깔변화와 비교한 결과 그 양상이 일치한다고 밝혔다.

그 근거는 해양 영양분 분포와의 관련성이다. 표층수가 따뜻해지면 해수 상층부가 층화돼 심층에 있는 영양분들이 표면으로 올라오기 어려워지고, 이렇게 영양분이 부족해지면 상대적으로 작은 플랑크톤 종류들이 덩치가 큰 플랑크톤들보다 살아남기가 쉬워진다. 이같은 영양분양의 변화가 바다 전체의 색깔 및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끼친다.

다만 바닷물 색의 변화 요인은 다양하다. 연구팀도 정확한 원인은 아직 파악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가령 해양 환경에 증가중인 미세플라스틱도 빛의 산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연구의 저자인 BB. 카엘 영국 국립해양학센터 연구원은 "바다 색깔은 생태계의 상태 변화를 반영한다"며 "생태계 파괴로 이어질 변화는 아니지만 인간활동이 우리가 이해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지구 생물권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한편 NASA는 2024년 1월 PACE(Plankton, Aerosol, Cloud, ocean Ecosystem) 위성을 발사해 전세계 바다의 색을 측정할 예정이다. 해당 위성은 이미징 센서를 이용해 기존 위성보다도 훨씬 더 많은 파장으로 측정이 가능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