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채무이자만 265조원
폭염과 가뭄, 홍수 등 기후재난으로 10년 이내에 59개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7일(현지시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와 이스트앵글리아대학교 공동연구팀은 금세기말까지 계속 기온이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대입했을 경우에 매년 각국의 기후위기 피해로 인한 채무변제액의 이자 지불금만 2030억달러(약 265조원)에 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에 따라 10년 내 59개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적어도 1계단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연구팀은 국제 신용평가사 S&P 글로벌의 기존 지표와 자연재해 리스크 평가모델을 합해 인공지능(AI)을 훈련시켜 새로운 기후경제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기후위기 대응을 미룰수록 기후위기 피해가 확대되면서 녹색투자를 위한 대출금이 급증하고, 기업부채가 늘어난다.
부채비용 상승은 기후위기가 경제에 가하는 피해의 한 단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실제로 세계 최대 보험사 알리안츠에 따르면 최근 북반구를 휩쓴 극한폭염만으로 전세계 총생산량의 0.6%가 떨어졌다. 지난 2020년 1월~2021년 2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신용등급이 강등된 국가가 48개국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후위기가 코로나 팬데믹보다 전세계 경제를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 인도, 미국, 캐나다 순으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된다. 이 4개 국가는 신용등급이 2계단 하락할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소속 경제전문가 엔리코 말루치는 카리브해 연안 7개국에서 고위험군에 속하는 허리케인의 발생 빈도가 29%, 강도는 49%, 그리고 이로 인해 부채가 30%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팀에 따르면 기후위기는 전지구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신용등급이 높은 국가일수록 더 떨어질 여지가 있고 하락폭은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반면 강등이 일어나지 않는 국가들은 이미 신용등급이 낮아 떨어질 수 있는 하락폭이 크지 않은 경우가 많을 뿐 실제 기후위기로 발생할 물리적 피해는 가장 크게 입을 전망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했던 논문의 주요저자인 이스트앵글리아의 패트리샤 클루삭 부교수는 "결국 기후위기 앞에 승자는 없다"며 각국이 신속히 기후위기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