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온난화 현상 2배 빨라...등반철 눈사태 위험 증가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4 12:24:05
  • -
  • +
  • 인쇄

히말라야 산맥을 등반하려면 이제 목숨을 걸고 올라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구온난화로 히말라야 산맥의 눈사태 위험이 증가하면서 사망자 수도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본 홋카이도대학과 네팔 국제통합산악개발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Integrated Mountain Development) 등 국제연구팀이 유럽지구과학연합(EGU)에 발표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지난 50년동안 해발 4500미터(m) 이상을 등반하다가 눈사태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최소 564명에 달했다.

8000m 이상의 14개 산과 6000m 이상의 유명 봉우리로 한정할 경우 1895년~2022년까지 최소 1400명이 등반하다가 사망했고, 이 가운데 33%는 눈사태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그 이전에도 눈사태는 늘상 있었다. 그러나 지구의 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등반철에 눈사태 위험이 더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 달라졌다. 히말라야 동부 산맥을 기준으로 3월~5월 그리고 9월~11월까지 비교적 등반하기 안전한 달로 꼽혔다. 그런데 이 달마저도 눈사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히말라야 눈사태 빈도가 높아지는 이유를 인도양의 온난화로 인한 사이클론 강화와 몬순의 불규칙성을 원인으로 꼽았다. 국제통합산악개발센터소속 기후학자 아룬 바크타 슈레스타(Arun Bhakta Shrestha) 박사는 "일반적으로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사이클론은 육지를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에너지를 잃는다"며 "따라서 히말리야 고산지대는 사이클론의 영향이 미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런데 최근들어 사이클론이 히말라야 고원지대 내부에 영향을 미쳐 과도한 폭설이 내리고 있다"고 했다.

인도 열대기상학연구소(Indian Institute of Tropical Meteorology)의 록시 매튜 콜(Roxy Mathew Koll) 박사는 "인도양의 급격한 온난화로 인해 몬순은 더욱 불규칙해지고 사이클론은 빈도, 강도 및 지속 시간이 증가해 아라비아 해와 벵골만을 지나면서 힘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즉, 몬순 패턴의 급격한 변화와 해양온난화로 인도양에서 사이클론이 더 자주, 더 강렬하게 형성되면서 안전한 등산철을 예측하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히말라야 등반 원정대 지원 기상학자이자 일기예보관 크리스 토머(Chris Tomer)씨는 "1996년 에베레스트에서 눈보라로 8명의 등반가가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한 이후 사이클론을 주시해야 한다는 사실은 상식으로 굳어졌다"며 "사이클론이 발생하면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고 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의 이전 연구에 따르면 낭가 파르밧같은 히말라야 서부에 위치한 봉우리는 물론 안나푸르나, 에베레스트 등 히말라야 중부의 인기 봉우리도 눈사태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머는 "20년 전에도 날씨가 좋았던 것은 아니지만 지난 몇 년 동안 마나슬루와 다울라기리같은 산맥들에 내린 눈의 양을 보면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 

또한 히말라야 산맥의 기온이 높아지면 눈사태 위험도 증가한다. 눈이 녹아내려 눈사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눈사태 자체에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 한 연구에 따르면 겨울과 이른 봄의 따뜻한 기온이 눈사태 발생 빈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다른 연구논문에 의하면 눈이 녹아 습한 눈사태의 경우 눈 결정의 밀도가 증가해 완전히 매몰된 피해자의 호흡이 제한될 수 있다. 눈이 점점 더 얇아지고 날카로워져 둔상 및 이차 부상 가능성도 높아진다. 

현재 히말라야 산맥은 전세계 평균보다 2배 빠르게 온난화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기온에 따른 눈사태 불안정성이 눈사태 활동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고 예상하고 있다. 

다만 오스트리아 그라츠대학(University of Graz)의 수문학자이자 이번 연구의 저자인 야콥 스타이너(Jakob Steiner)는 "장기 관측 자료가 부족하고 아직 기후와 눈사태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눈사태 사망자의 꾸준한 증가가 현재로서는 어떤 단일 요인에 기인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시점에서 기후변화를 원인으로 지목하기는 어렵지만 그 발자국은 엿볼 수 있었다"며 "눈사태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