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량 많은 韓 등 주요 7개국 대응이 중요
지금 이대로 기온이 상승하면 금세기말 지구 평균기온은 2.5℃까지 치솟기 때문에 2023~2050년 연간 탈탄소 투자액을 현재보다 150%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우드맥킨지가 14일(현지시간) 발간한 '에너지전환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에 이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전세계가 넷제로를 2050년 달성했을 때 1.5℃, 2060년 달성했을 때 2℃, 2070년 달성했을 때 2.5℃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로선 전세계가 2070년 넷제로를 달성해 2100년 평균기온이 2.5℃ 오르는 시나리오가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의 물가상승을 완화하기 위해 에너지 인프라 개편이 늦어지고 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공급 공백을 메우기 위해 화석연료 산업에 계속 자금이 투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국립과학원회보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이 2.5℃에 이르면 전체 생물종의 20~30%가 멸종위기에 처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런던정치경제대학교 산하 그랜덤 기후변화연구소는 이런 상황에 닥쳤을 때 전세계 금융자산의 16.9%인 24조달러(약 3경1900조원)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같은 파국을 막으려면 평균기온 상승폭을 1.5℃로 제한하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 연간 1조9000억달러(약 2521조원)를 투입하는 전세계 탈탄소 투자액을 당장 2조7000억달러(약 3584조원) 규모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우드맥킨지 시나리오에 따르면 2023년 에너지부문 배출량이 정점에 달한 뒤 2030년 16% 감축되고, 2047년 중동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넷제로를 달성하게 된다. 화석연료의 에너지공급 비율은 20%로 떨어지고, 에너지의 80%를 태양광, 풍력, 원자력, 지력, 수소 등이 담당하게 된다. 끝까지 잔존할 가능성이 높은 화석연료인 천연가스는 탄소포집·저장(CCUS)이나 자연기반 해법으로 상쇄된다.
문제는 이같은 시나리오가 적시에 안보문제를 해결하고, 국제협력을 통해 신규기술의 개발과 규모의 경제 달성이 이뤄졌을 때 가능하다는 게 맥킨지의 지적이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해 유럽, 미국, 중국, 호주, 일본, 인도 등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7개 주요 시장에서의 책임을 강조했다.
사이먼 플라워스 우드맥킨지 수석연구원은 "1.5℃ 목표 달성은 극도로 도전적인 과제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며 "다만 2030년까지 내려지는 결정들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