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말라리아 환자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올해도 이른 더위와 집중호우로 피해가 커질 전망이다.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강서구에서 말라리아 환자 2명이 발생하면서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됐다. 지난 9일 양천구 이후 서울에서 두번째다. 시는 강서구 군집사례 환자들의 추정 감염지역, 모기 서식환경, 공동 노출자,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심층 역학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말라리아는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모기에 물리는 것을 통해 감염된다. 감염 후 12~18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구토, 두통, 발열과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말라리아 경보는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가 발령된 이후 첫 군집사례가 발생하거나 매개 모기 하루평균 개체수가 시·군·구에서 2주 연속 5마리 이상이면 지역사회 내 유행을 막기 위해 내려진다.
올해는 이른 더위로 인해 지난해보다 1주 이른 6월 18일 전국에 말라리아주의보가 발령됐다. 질병청 관계자는 "지난 6월 2~8일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등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매개모기 밀도 감시 결과 강화군, 파주시, 철원군에서 하루평균 모기 지수가 0.5를 넘어 말라리아주의보 발령 기준을 충족했다"며 "당시 말라리아 위험지역의 최고기온이 평년 대비 2℃가량 높아진 27.3℃까지 오르면서 모기의 활동이 다소 빨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활동만 빨라졌을 뿐 아니라 개체수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 6월30일부터 7월6일까지 매개모기지수는 평균 18.2개체로 말라리아 환자수가 급증했던 지난해 대비 9.8개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모기지수란 하룻밤에 한 대의 채집기에 채집된 모기의 평균수를 말한다. 개체수가 늘어난 원인으론 이른 더위로 모기의 활동기간이 길어지면서 활동 밀도가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말라리아 발생건수도 매해 늘고 있다. 국내 말라리아 감염자수는 2021년 294명에서 2022년 420명, 2023년 747명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7월20일 기준 307명으로 집계중이다.
일각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고온다습한 폭염이 일찍 시작되고 최근 국지성 호우로 물웅덩이가 형성되면서 말라리아 모기가 늘어나고 서식지도 넓어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그럴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이날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최근 서울에서 말라리아 감염자가 여럿 발생한 원인은 역학조사 기준이 달라졌기 때문"이라며 "기존에는 감염자가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지나기만 해도 해당 지역에서 말라리아에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했지만 최근에는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어느 시간대에 얼마나 머물렀는지까지 파악한다"고 말했다. 이 기준에 부합하면 거주지를 기준으로 감염지를 추정하기 때문에 이전보다 서울 감염자가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이어 "실제로 기온이 올라 모기가 서식, 활동하는 기간이 길어질 수는 있지만 이로 인해 국내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늘어났다고 연관짓기는 어렵다"라며 "실제로 최근 기후 조건은 모기가 서식하기 적합한 상황이지만, 기후변화와 말라리아 감염 증가에 대한 상관관계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내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제대로 치료받으면 치명률은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청은 말라리아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저녁시간에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