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으로 '탄소나노튜브' 만드는 기술개발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5 10:47:03
  • -
  • +
  • 인쇄
▲마스크 폐기물로부터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는 업사이클링 공정 (자료=UNIST)


국내 연구진이 폐마스크 등 폐플라스틱을 이용해 고부가가치 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를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25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안광진 교수와 임한권 교수 공동연구팀은 마스크 폐기물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혼합가스를 이용해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는 방법을 고안했다고 밝혔다.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원통형 모양의 나노 구조를 가지는 탄소 동소체로 열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해 전도성 소재, 자동차 부품, 배터리 도전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열분해(Pyrolysis)는 무산소 및 고온 조건에서 화합물을 분해해 두 가지 이상의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는 반응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 고분자의 열분해는 일반적으로 300℃ 이상에서 수행되며 가스, 오일, 고체 잔여물이 생성된다. 연구팀은 마스크 폐기물을 열분해시켜 메탄,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탄화수소 가스로 변환시킨 다음, 이를 고온에서 처리해 탄소나노튜브로 전환했다.

이 방식은 기존 메탄과 수소 기반 공정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생산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다. 또 폐기물 분리과정없이도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방식으로 CNT를 생산했을 때 비용은 1kg당 2999달러로, 기존 방식으로 했을 때 비용인 2930달러와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비용을 감안하면 기존 방식보다 더 경제적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마스크 폐기물은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된다. 극히 일부만 재활용되고 있는데 이마저도 생산품의 품질 및 처리가 제한적인 물리적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안광진 교수는 "마스크 외에도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폐기물이면 별도 선별수거 없이 공정에 투입할 수 있다"면서 "향후 플라스틱 폐기물 규제로 인한 비용발생을 감안하고, 공정 효율화도 꾀하면 기존 방식보다 생산비용이 훨씬 저렴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뿐만 아니라 열분해에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게 되면 탄소중립도 실현할 수 있어 환경적 이점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논문의 제1저자 김희향, 남언우 연구원은 "공정 규모를 확장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수급까지 확보된다면 를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면서 "이산화탄소 발생량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한권 교수는 "향후 실험실 수준의 장치를 더 큰 규모로 설계해 실제 산업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6월 28일 국제학술지 '화학공학저널'(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피자도 받고 소외청소년에 기부도...22일 '업비트 피자데이'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오는 22일 비트코인 피자데이를 맞아 '2025 업비트 피자데이'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비트코인 피자데이'는

현대百, 크리스마스 트리로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조성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크리스마스 트리 연출에 사용됐던 전나무를 활용해 도심숲 조성에 나선다.현대백화점은 오는 22일 서울 보라매공원에 도심숲 '더

경기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 90% 지원

경기도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내 민간 카페 50곳에 텀블러세척기 구입비를 지원하는 '텀블러세척기 구입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

[손기원의 ESG인사이드] ESG경영 이끄는 세가지 축

지난 5년간 ESG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기업 경영의 구조적 전환을 유도해왔다. 그 흐름을 이끈 세 가지 동인(driver)은 기술, 공시, 금융이다. 이 중 기술과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기후/환경

+

중국 날씨 왜 이래?...43°C였다가 다음날은 20℃

중국 북부 내륙이 한낮에 40℃ 넘게 치솟았다가 그 다음날 20℃까지 뚝 떨어지는 이상 기후현상이 연일 발생하고 있다.21일(현지시간) 중국 신화통신에

10년간 한반도 서식 확인 생물 35% 증가…유입주의 생물은 15배 늘어

한반도에 서식하는 생물이 지난 10년간 35%, 습지보호지역에선 5배 가량 늘어났다.국립생물자원관은 유엔(UN)이 정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22일)을 하

"2030년 전세계 청소년 5억명 비만이나 과체중"...원인은?

2030년에 이르면 전세계 청소년 가운데 5억명이 비만이거나 과체중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왔다.국제학술지 랜싯(The Lancet) 청소년 건강 및 복

임신중 대기오염 노출되면...자녀 천식 위험 증가

임신중에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태어나는 자녀가 천식에 걸릴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호주 시드니공대 라지아 카자리야 박사팀은 생쥐를 대

석탄 태워놓고 청정에너지?...수소입찰제도 '헌법소원' 청구

'청정수소발전 의무화제도'(CHPS)가 국민 환경권과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사유로 헌법소원이 제기됐다.기후·환경 시민단체들이 21일 오전 11시 헌법

"지구기온 1.5℃ 억제해도 해수면 상승 못막는다"

파리기후변화협약 목표인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대비 1.5℃ 이내로 억제한다고 해도 해수면 상승을 막을 수 없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