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과 영주댐, 소양강댐 등 전국 대부분의 댐과 저수지에 '녹조' 비상이 걸렸다.
31일 대구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지난 26일 안동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와 함께 경북 안동댐과 영주댐 현장조사를 벌인 결과 댐 전체가 심각한 수준으로 녹조에 뒤덮여 있고, 조류 대발생 기준인 100만셀을 웃돌았다"고 밝혔다. 안동댐은 110만셀, 영주댐은 기준치의 2배인 200만셀에 달했다.
녹조 현상은 질소와 인을 포함한 여러 오염물질이 강이나 호수로 유입되면서 영양물질이 풍부해지는 부영양화 현상과, 강한 햇빛, 수온 상승, 물순환 정체로 인해 남조류가 이상증식하는 현상이다.
문제는 녹조의 원인인 유해 남조류가 독성발암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을 생산한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시스틴의 독성은 청산가리의 6000배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녹조 현상이 심해지면 녹조가 에어로졸 형태로 대기중에 날리게 되는데, 이러면 독성 범위가 넓어져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당국의 기준으로 쳐도 지금 안동댐과 영주댐의 녹조는 대발생 단계를 넘어섰다"며 "정부는 조류 대발생시 국민행동 요령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민재난 수준의 녹조가 창궐했다"며 "정부가 사태에 책임을 지고 안동댐과 영주댐 주변 주민들을 대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대구시는 안동댐을 식수원 확보를 위한 '맑은물하이웨이사업' 대상지로 선정한 바 있다. 녹조물을 식수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녹조 현상 문제는 비단 안동댐과 영주댐만의 문제가 아니다. 보현산댐과 경남 창녕군의 감동저수지도 녹조 현상이 심각하다. 강원 인제군 소양호댐, 합천의 학동저수지와 창원 주남저수지도 마찬가지다. 특히 충청권 식수원인 대청호 상류 지점은 장마철 호우로 인해 1만8000㎥의 쓰레기가 유입됐는데, 이 쓰레기들이 물 흐름을 방해하고 폭염으로 부패되면서 녹조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지난 30일 기후위기로 인한 홍수와 가뭄 피해를 막기 위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전국 댐과 저수지가 녹조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추가적인 댐 건설은 오히려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수질오염을 악화시키는 행위라며 강력 비판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