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Ti "탄소상쇄권 효과 미미"...스코프3 감축수단으로 인정 안할듯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7-31 17:45:58
  • -
  • +
  • 인쇄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가 '탄소상쇄권'이 대부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SBTi 인증에 도입하려면 효과적인 탄소상쇄권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30일(현지시간) SBTi는 내년 '기업 넷제로 표준' 개정을 앞두고 그간의 기술적 논의를 담은 중간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현재까지 탄소상쇄권의 12~33%만이 효과적으로 탄소감축 역할을 수행했다는 외부 연구자료를 인용하며 "다양한 종류의 탄소상쇄권들이 의도된 기후위기 완화 효과성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기업 넷제로 표준' 개정은 스코프3 감축목표 이행수단으로 탄소상쇄 인정 여부가 주안점이다. SBTi는 기업들의 스코프 1·2·3에 대한 단기 감축목표(5~10년)와 장기 감축목표(2050년)를 검토해 실행가능 여부를 판단한 뒤 인증을 부여한다. SBTi는 원칙적으로 탄소상쇄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넷제로 90%를 달성한 뒤 어쩔 수 없는 나머지 10% 부분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탄소상쇄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 스코프3에 대해서만이라도 SBTi가 유연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스코프3는 제품 생산 외 물류 및 유통, 제품 사용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이다. 기업의 직접적인 통제범위 바깥에 있어 현재로선 탄소상쇄와 같은 간접적인 방식이 아니면 감축이 어렵기 때문에 '기업 넷제로 표준'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지난 4월 SBTi 이사회는 탄소상쇄권을 스코프3 감축수단으로 인정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는 표준 개정 이전에 검토 및 승인을 진행하는 SBTi 기술위원회와의 상의없이 이사회 독단으로 결정된 사항이어서 내부적으로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결국 SBTi는 7월중 의견수렴 결과를 공개하기로 하면서 이번에 중간보고서를 공개한 것이다.

중간보고서에서 SBTi는 탄소상쇄가 대체로 효과가 없고, 따라서 실제로 필요한 곳에 쓰여야 할 기후금융을 축내 오히려 넷제로 전환을 늦추는 위험도 존재한다는 입장이지만, 도입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보고서는 SBTi는 "실제 효과가 있는 소수의 탄소상쇄권이나 탄소상쇄 프로젝트에 대한 운영 조건들이나 특징들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결론을 내리기 전까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SBTi는 올해말까지 '기업 넷제로 표준' 개정 초안을 마련하고, 2025년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SKT, AI로 ESG 실현…'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이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SKT는 ESG 경영 전반에 AI를 접목한 ESG 비전 'DO THE GOOD AI'를 27일 공개했다. SKT는 비전을 통해 AI와 ESG의

기후/환경

+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초대형 산불' 4월에 또 발생할 수 있다?…안심할 수 없는 이유

경상권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가 커진 직접적인 원인으로 '건조한 대기'와 '강풍'이 지목된 가운데, 본격적인 영농 준비가 이뤄지는 시기인데다 4월 4일

산에 불났는데 고깃배가 전소..."불씨 2㎞까지 날아갔다"

이번 산불로 75명의 사상자를 비롯해 역대급 피해가 발생한 데는 건조한 대기와 미흡한 초동대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

강진에 폭삭 무너진 미얀마…아비규환 상황에 맨손구조 불사

규모 7.7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중부는 모든 것이 무너져 그야마로 아비규환 상태다. 매몰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구조인력

산청 산불 10일만에 '꺼졌다'...213시간 34분 걸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산림당국에 따르면 30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전문가들이 비판하는 이유는?

경상권의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산림청의 미흡한 산불 진화 체계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