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전세계 바다의 30%를 보호하자는 국제사회의 목표는 시한을 77년 넘긴 후에야 달성 가능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21일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제16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6) 개막 하루전에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세계 바다의 30%를 보호한다는 '30x30' 목표까지 6년 남았지만 현재 속도대로 해양보호 조처가 이뤄진다면 2107년에나 30% 회복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1992년 브라질 리우 지구정상회의에서 생물다양성 보존협약이 채택된 이후 2024년 현재까지 32년이 지났지만 전세계 해양은 8.4%만 보호되고 있다. '30x30' 목표를 달성하려면 앞으로 6년 이내에 매년 대한민국 면적의 약 130배인 1299만600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특히 전문가들이 완전히, 또는 고도로 보호되고 있다고 보는 해양은 2.7%에 불과하다. 각국의 영해뿐 아니라 영유권이나 배타권이 특정 국가에 속하지 않는 공해(公海)는 고작 0.9%만이 보호받고 있다. 따라서 각국 영해를 넘어 공해 보호를 위한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과 국제사회 협력이 중요한 상황이다.
게다가 해양 환경의 보호는 앞으로 허들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그린피스 연구결과 △해양온난화로 1970년대 대비 해양 산소 함량이 1~2% 감소 △2024년 7월까지 전세계 산호 73%가 백화현상을 겪을 만큼 뜨거워진 바다 등 해양 환경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피해는 고스란히 인간에게 돌아온다. 해수면은 1900년 이후 21cm 상승했으며, 앞으로 극단적인 해수면 상승이 20~30배 더 빈번하게 발생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피해를 받는 인구는 약 10억명에 달한다는 예측이다.
이에 그린피스는 이번 COP16에서 각국이 글로벌 해양조약의 발효를 앞당길 것을 촉구했다. COP16은 약 200개국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글로벌 행동 계획을 수립하는 회의다. 지난 2022년 COP15에서 국제사회는 '30x30' 목표를 담은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을 채택하기도 했다.
GBF로 채택된 글로벌 해양조약은 각국의 영해를 넘어선 해역인 공해의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최초의 다자조약이다. 글로벌 해양조약이 발효되려면 최소 60개국의 비준이 필요한데, 현재까지 비준한 국가는 13개국에 불과하다.
COP16에 참가하는 메간 랜들스 그린피스 정책 전문위원은 "건강한 바다는 기후 변화와 각종 위협으로부터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30x30'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글로벌 해양조약 발효이기 때문에 각국 정부는 조약 비준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페이너는 "내년 해양 보호에 관한 국제 협력을 논의하는 '아워오션콘퍼런스'가 한국에서 열린다"며 "개최국으로서 한국이 하루 빨리 글로벌 해양조약을 비준하도록 해양수산부와 외교부에서 국내 절차에 속도를 내길 바라며, 비준과 더불어 공해 보호구역 확대와 관리 강화에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등 글로벌 해양 보호 리더십을 발휘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