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과자값 또 오르려나?...이상기후에 환율까지 '겹악재' 직면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9 11:30:05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이상기후에 계엄발 고환율 여파까지 겹치면서 밥상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정치적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인상으로 식음료 등 국내 생활물가까지 치솟게 될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9월에만 해도 달러당 1300원대 초반이었지만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1400원을 뚫었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느닷없는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환율은 현재 널뛰기를 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선포 후 지난 4일 새벽 1442.0원까지 뛰었고, 서울 외환시장에서 주간 거래 종가는 1419.2원으로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환율이 1500원 가까이 오른다면 위험하다고 입을 모았다.

환율이 오르면 당장 위험한 것은 식품물가의 상승이다. 우리나라는 밀과 콩 등 대부분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이 치솟으면 밀가루와 라면, 빵 등 수입곡물에 의존해 생산하는 모든 식품류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 

지난해 우리나라에 수입된 식품은 1838만톤으로, 약 348억달러(약 50조원)에 달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최근 3개년(2021∼2023년) 평균 곡물자급률은 19.5%로 10여년 전보다 10%포인트(p) 이상 낮아졌다. 밀과 옥수수는 곡물자급률이 거의 '제로'다.

밀은 라면과 국수, 빵, 과자 등에 들어간다. 수입 콩은 장류, 식용유, 두부의 원료이며 옥수수는 액상과당의 원료로 음료에 들어간다. 사료 원료인 옥수수는 축산물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버터, 바나나, 커피, 오렌지는 물론 치킨 등 튀김에 쓰이는 대두유나 해바라기유, 카놀라유, 올리브유, 맥주의 원료인 맥아도 모두 수입한다.

올해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한 이상기후로 곡창지대 수확량이 감소하면서 수입곡물들의 가격이 오르고 있다. 폭염과 폭우 등으로 커피와 초콜릿 원료인 카카오 등의 생산량이 줄었고, 과자나 라면에 들어가는 팜유, 올리브유 등의 생산량도 크게 줄었다. 이로 인해 국제시장에서 커피와 카카오, 팜유 등의 가격은 일제히 올랐고, 국내 제과류업체들은 치솟는 원료값을 더이상 견디지 못하고 얼마전 일제히 가격을 인상한 상태다. 롯데웰푸드, 오리온 등 제과류업체뿐 아니라 BBQ와 굽네 등 치킨업체들 그리고 맥도날드, 롯데리아, 맘스터치 등 버거업체들도 가격을 잇따라 올렸다.

이런 상황에서 환율까지 오르면 업체들은 추가적인 가격상승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는 곧 생활물가에 영향을 미쳐 민생은 더욱 피폐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이에 기업들은 당장 가격을 올리지 못하겠지만 환율 추이를 지켜보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삼성E&A와 손잡고 美SAF 시장에 진출한다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發)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시장에 진출한다.대한항공과 삼성E&A는 이를 위해 지난 20일 오후

[ESG;스코어] 스코프2에서 멈춘 금융사들…공시품질 '신한 1위·KB 2위'

신한금융이 국내 금융사 기후공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한국투자공사(KIC)는 최하위로 나타났다.20일 뉴스트리는 신한·KB·하나·우리

수퍼빈·아로마티카·커뮤니코, 순환경제 모델 구축 '맞손'

AI 기후테크 기업 수퍼빈과 아로마테라피 기반 스칼프&스킨케어 브랜드 아로마티카, 교육혁신 비영리단체 커뮤니코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체계 구

국민연금, ESG 책임투자 강화…'감사위원 3%룰' 반영

국민연금이 국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ESG 책임투자를 한층 강화한다.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기후/환경

+

대한항공, 삼성E&A와 손잡고 美SAF 시장에 진출한다

대한항공이 삼성E&A와 손잡고 미국발(發)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 시장에 진출한다.대한항공과 삼성E&A는 이를 위해 지난 20일 오후

[ESG;스코어] 스코프2에서 멈춘 금융사들…공시품질 '신한 1위·KB 2위'

신한금융이 국내 금융사 기후공시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한국투자공사(KIC)는 최하위로 나타났다.20일 뉴스트리는 신한·KB·하나·우리

석유대국 사우디, 재생에너지 반대하다 '태세전환'

석유대국 사우디아라비아까지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17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은 사우디아라비아가 남부 알 슈아이바2(Al Shuaibah 2) 태양광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거래시장 진입 채비… “재생에너지 52.9GW 확충”

인도네시아가 국가 탄소시장을 국제 기준에 맞춰 정비하며 글로벌 탄소시장에 본격 진입한다.19일(현지시간) 솔라쿼터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인도네

中, 재생에너지 확장에서 미국·EU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

중국이 재생에너지 확장 속도와 규모에서 미국과 유럽연합을 넘어 세계 1위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왔다.1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

트럼프 기후정책 후퇴로 전세계 130만명 추가 사망 가능성

미국의 기후정책 후퇴가 전세계적으로 약 130만명의 추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19일(현지시간) 가디언과 프로퍼블리카의 공동 분석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