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00년까지 탄소감축이 실현되지 않는다면 한반도 해수온도가 4.5℃ 오르고 해수면 높이는 58㎝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기상청은 연세대학교 송하준 교수, 강릉 원주대학교 탁용진 교수 연구팀과 정부간기후변화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 제시된 저탄소 시나리오와 고탄소 시나리오를 활용해 탄소감축 정책 유무에 따른 한반도 해역의 미래 전망을 비교·분석해보니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저탄소 시나리오를 활용해 2015~2024년과 2100년 한반도 주변 해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해수면 온도는 2050년까지 3.9℃로 상승하다가 이후 안정된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해수면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2091~2100년에 평균 4.28℃ 오른다. 특히 서해와 동해 중부해역은 해수면 온도가 약 4.5℃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고탄소 시나리오일 때 바다가 식는 데 걸리는 시간도 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면 온도가 빠르게 오르면서 21세기말 해양열파의 발생일수와 강도 모두 증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탄소감축이 이뤄지지 못했을 때 해양열파의 발생일수는 295.5일, 강도는 2.54℃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탄소 시나리오와 비교하면 발생일수는 100일, 강도는 2℃나 차이가 난다.
해양열파란 최근 10년 하루평균 수온을 기준으로 상위 10% 고수온이 5일 이상 지속되는 현상이다. 해양열파의 발생일수와 강도가 증가하면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해양생태계 파괴 등 해양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더 심각해지고, 폭염·폭우·폭설 등 극한기상 발생이 증가할 우려도 커진다. 실제로 올해 서해안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수도권과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40㎝ 내외의 폭설이 내렸다. 탄소감축이 없다면 이같은 상황이 더 자주,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강수량이 늘어나면서 표층염분은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표층염분은 2040년대부터 계속 감소해 21세기말에 저탄소 시나리오 감소폭의 2배에 달하는 약 1.1psu(실용 염분 단위)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표층염분의 변화는 해양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며 어업과 양식업 등 수산분야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해수면 높이는 탄소감축 유무에 따라 상승폭이 2배 가까이 차이난다. 기상청은 저탄소 시나리오일 때는 2100년까지 35㎝ 높아지지만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55~5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수면 높이 상승은 폭풍해일 강도 증가 및 극한 파고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상청은 이번에 발표한 시나리오를 '기후·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승인받아 기후변화 상황지도를 통해 제공하고, 향후 관련기관의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모아 해양 분야의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개발할 예정이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상세한 미래 예측자료는 해양 분야의 기후위기 적응과 대응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라며 "기상청은 기후위기 감시·예측 총괄기관으로서 신뢰도 높은 기후변화 예측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