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바일 상품권에 대해 5~10%의 수수료를 부과하던 카카오가 내년부터 이 수수료를 최대 8% 이상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카카오가 26일 공정거래위원회 주최로 열린 '모바일 상품권 민관협의체 성과발표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상생방안을 발표했다.
카카오 상생방안은 가맹점주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 상한제(8%)를 도입하고, 가맹본부와 함께 우대수수료(0.5~1.0% 추가 인하)를 인하하는 내용이 골자를 이루고 있다. 이 상생방안은 우선 3년간 적용되며, 이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또 카카오는 모바일 상품권 시장의 성장을 위해 카카오톡 선물하기 모바일 상품권의 정산주기를 현행 월 4회에서 10회로 늘리는 방안에 대해 내년 1분기 내 시행할 계획이다.
앞서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참여연대 등은 '카카오가 시장지배적 우위를 남용해 기프티콘 등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를 과도하게 떼어가고 있다"고 비판하며 카카오를 공정위에 신고했다. 이 단체들은 신용카드 결제수수료는 최대 2.07%인데 비해 카카오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는 5~10% 부과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상품권 시장의 74%를 차지하며, 선물하기 시장의 90%를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상생방안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클 것으로 보인다.
상생방안을 발표한 카카오 권대열 ESG위원장은 "카카오는 그동안 민관협의체 논의를 통해 가맹점 주 부담을 줄이는데 적극 협력해왔으며, 가맹 시장의 거래 질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이번 상생안이 잘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모바일 상품권 민관협의체 성과발표회'에는 공정거래위원회 한기정 위원장을 비롯해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 금융위원회 디지털금융정책관 등 정부 관계자들과 카카오, 11번가, KT알파, 쿠프마케팅, 섹타나인, 즐거운 등 6개 유통·발행사가 참석했다.
지난 4월 출범한 모바일상품권 민관협의체는 카카오를 포함한 모바일 상품권 유통·발행사업자와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공정거래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각 분야 관계자들이 두루 참석한 가운데 약 9개월간 상생방안을 논의해 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