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AMR)으로 인한 사망률이 2배 늘어난다는 전망이 나왔다.
5일(현지시간) 샐리 데이비스 전 영국 최고의료책임자는 2050년까지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사망률이 2배 늘어날 것이라고 '옵저버'(Observer)에 발표했다. 향후 25년동안 약 4000만명이 슈퍼박테리아에 목숨을 잃을 것이라는 경고다.
데이비스 박사는 "항생제 내성균의 확산으로 수술, 출산 등 일상적인 시술까지 생명의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며 "매년 약 100만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25년간 이 수치는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항생제 내성은 특히 노인이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70세 이상의 항생제 내성 사망률은 1990년 이후 80% 증가했으며, 전문가들은 인구 고령화로 만성질환자가 증가할수록 항생제 내성에 더 취약해진다고 주장했다.
항생제 내성균이 확산하는 원인은 의학적 오용뿐만이 아니다. 항생제의 약 70%는 축산업에 쓰인다. 질병 확산을 막고자 항생제가 가축에 무분별하게 투여되고, 항생제 범벅이 된 고기와 분뇨 등이 내성균을 퍼뜨리는 것이다.
데이비스 박사는 "항생제는 성장 촉진제나 예방제의 값싼 대안으로 쓰이고 있다"며 "항생제를 많이 쓰는 집약적 농업이나 하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병원에서 수로로 내성균이 유입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데이비스 박사에 따르면 내성균이 퍼지는 이유는 적자생존의 단순한 문제다. 그는 "박테리아는 증식하는 데 약 20분이 걸리고, 또 많은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며 "항생제에 노출된 상태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이 균주는 증식하고 접촉하는 모든 박테리아에 내성을 전염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항생제 내성균에 대비해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는 일도 문제다. 데이비스 박사는 "새 항생제를 개발하더라도 1년에 한번, 주 1회밖에 사용하지 못하는데 이익이 있겠느냐"며 "반면 매일 복용해야 하는 혈압약이나 몇 달간 투여해야 하는 항암제는 제약회사에 훨씬 더 큰 이익"이라고 말했다. 제약사들 입장에서는 새 항생제를 개발할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이다.
결국 현재 보유한 항생제를 오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데이비스 박사는 강조했다. 그는 적어도 G7이 항생제 내성균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관련 조치가 여전히 부족한 현실이라며 내년까지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