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코끼리들의 상아가 사라지고 있다. 수십년에 걸쳐 상아가 밀렵의 표적이 되면서 상아없는 개체가 살아남으면서 이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처럼 인간의 행위가 지구상의 많은 동식물 진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롱고사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아프리카 사바나 코끼리는 모잠비크 내전기간 밀렵으로 90% 이상 급감했다. 현재는 개체수가 회복되고 있는데, 특이한 점은 상아가 없는 코끼리가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탄자니아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들은 상아가 없는 코끼리는 밀렵꾼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낮아 이같이 변화하고 있다고 봤다. 타냐 스미스 WWF-UK 수석고문은 "지난 수십년간 이어진 밀렵 이후 아프리카 코끼리는 엄니가 짧거나 전혀 없는 개체의 비율이 증가했다"며 "인간 때문에 코끼리의 상징 중 하나를 잃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비극적인 사례"라고 짚었다.
변화하는 것은 식물도 마찬가지다. 열대우림 생태계의 중요한 기둥이자 붉은색 목재로 유명한 마호가니 나무는 세계에서 가장 좋은 가구용 나무로 알려지면서 마구 벌목됐다. 그 결과 카리브해 등 일부 지역에서는 1970년 이후 마호가니 나무 개체수가 70% 이상 감소했다.
현재 마호가니 나무들은 여전히 널리 퍼져있지만, 과거와 다른 형태로 자라고 있다. 한때 20m 이상씩 자라던 마호가니 나무는 상업적 가치가 거의 없는 작은 관목으로 자라고 있는 것이다.
국제보존식물원(Botanic Gardens Conservation International)의 보존전문가인 말린 리버스 박사는 "가장 큰 나무들이 빠르게 잘려나가면서 크기를 키울 수 있는 유전자를 공유하지 못했다"며 "이 나무들은 더이상 크고 우뚝 솟은 형태를 취하지 않으며 과거의 높이만큼 결코 자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8년 명명된 신종 불가사리 '아스트로피우라 캐롤레아'(Astrophiura caroleae)는 특이하게 맥주병을 좋아한다. 정확히는 불가사리의 친척꼴인 생물인데, 카리브해의 퀴라소 해안에서 발견된다. 과학자들은 이 종이 호기심이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자연사 박물관(NHM)의 불가사리 전문가인 휴 카터 박사는 "살아있는 개체는 약 300m 깊이에 버려진 하이네켄 맥주병 혹은 고무타이어에서만 발견됐다"며 "본래 해당 속의 생물들은 단단한 것을 선호해 대부분 바위에서 살아가는데, 이 종은 인간이 버린 쓰레기에서 행복하게 전통을 이어가는 것같다"고 말했다.
네덜란드에서는 달팽이가 도심의 더위를 견디기 위해 껍데기 색상을 옅게 진화시켰다. 시민과학자 수천명이 수집한 달팽이 사진을 관찰한 결과, 연구자들은 도심에 사는 달팽이의 껍데기 색상이 더 옅어진 것을 발견했다.
전문가들은 도시 기온이 상승하면서 이런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고 있다. 네덜란드 진화생물학자인 메노 쉴트하위젠 교수는 "껍데기 색이 어두우면 열을 더 많이 받아 과열로 폐사할 위험이 있다"며 "옅은 색상은 무더위 아래서 달팽이를 충분히 시원하게 유지해준다"고 보았다.
이외에도 미국 네브래스카주 남서부에 서식하는 삼색제비는 자동차를 피하기 위해 날개 길이가 짧아졌다. 종종 다리 밑에 둥지를 트는 삼색제비는 지나가는 차에 자주 치였는데, 2013년 연구에 따르면 날개가 짧아지면서 치일 위험이 줄어들었다. 날개가 짧아지면 보다 민첩해져 차를 빠르게 피할 수 있고, 날개가 긴 새는 죽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