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예산 삭감하고 저수지는 '텅'...LA산불은 人災였나?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1-16 19:03:27
  • -
  • +
  • 인쇄
▲소방국 예산을 삭감한 것으로 알려져 비판받고 있는 카렌 배스 LA시장 (사진=EPA 연합뉴스)

'LA 산불'이 9일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산불을 키운 것은 기후변화였지만 피해를 키운 것은 로스앤젤레스(LA) 당국의 부족한 기후대응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날이 갈수록 산불 빈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소방국 예산을 삭감하는 등 재해에 대비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15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카렌 배스 LA 시장과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대한 시민들의 비판은 거세지고 있다. 산불이 발생했을 때 사용해야 할 저수지는 물이 빠져 있는 상태였고, 일부 소화전에서는 물이 나오지 않거나 작동되지 않는 것도 있었기 때문이다.

소방 인프라와 관련해 문제가 발생하자, 산불 발생 직전 소방국 예산을 삭감한 배스 시장은 뭇매를 맞고 있다. LA 당국 기록에 따르면 배스 시장은 지난해 4월 세수 감소와 비용 증가를 이유로 LA소방국 예산을 삭감할 것을 제안했고 시의회가 이를 승인했다. 이에 소방국 예산은 1760만달러(약 256억3000만원) 줄었다.

배스 시장은 예산 책정이 소방국 대응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지역 소방관들은 체계적인 자금 부족과 최근 예산 삭감으로 인해 산불과 같은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소방서의 능력이 저하됐다고 반박했다. 크리스틴 크로울리 LA소방국장은 "시 지도부가 소방대의 일반직 직원을 전면 해고해 소방차와 진화용 헬기 정비가 지연됐다"며 "이러한 예산 삭감이 급여 및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핵심 운영'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현재 배스 시장의 해임 청원에는 14만명의 시민들이 서명했다.

▲보수 공사로 인해 수개월 전부터 물이 사라진 상태였던 산타이네즈 저수지 (사진=X 캡처)

LA가 속한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고온건조한 기후특성상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으로 캘리포니아주 산림방화국(CAL FIRE)에 따르면 매년 6000~9000회에 달하는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는 산불이 발생하는 시기를 예측할 수 있었고, 겨울에 비가 집중되면서 대형 산불로 확산되기전에 진압이 가능했다.

그런데 최근 이 지역에도 기후변화로 인해 기후패턴이 바뀌고 있다. 지난 2023년 겨울에는 '대기의 강' 현상으로 엄청나게 많은 비가 쏟아졌고, 이로 인해 그해 여름 식물이 무성하게 자랐다. 그런데 올겨울에는 비가 한방울도 내리지 않으면서 무성하게 자란 식물들은 오랜 가뭄에 바싹 말라 이번 산불에서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극한폭우'와 '극한가뭄'이 해마다 교차하는 '기후채찍'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지역에 '기후채찍' 현상이 발생하면서부터 산불로 인한 피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 실제로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10건 가운데 7건이 최근 10년 이내에 발생했다. 지난 2020년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발생한 노스컴플렉스 산불로 1300㎢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이번 LA 산불의 피해규모를 키운 것 역시 겨울철까지 이어진 가뭄과 덥고 건조한 날씨의 영향이 컸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더운 날이 많아지고, 가뭄이 길어지고, 대기가 건조해지는 등의 기후변화가 5~10월에만 발생하던 캘리포니아 산불을 1년 내내 발생하도록 만들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캘리포니아 기후패턴이 바뀌고 있는데도 당국이 이를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나오고 있다. 산타이네즈 저수지에 물이 가득차 있었다고 해도 워낙 지대가 낮아서 산불이 발생한 고지대로 물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또 캘리포니아 주택마다 설치된 소화전과 수도는 대부분 구조물 화재용일뿐 대형 화재에 대비해 설계된 소방 인프라는 없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빈도와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당국이 제대로 된 기후대응에 나서지 않으면서 이같은 참사로 벌어진 것이다. 지난 4월 LA카운티는 지역 숲 관리 계획을 발표했는데 '환경 정의'를 중심으로 생태계 다양성 유지에 대한 내용은 가득했고 산불 위험 등을 줄이기 위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국립에너지분석센터 조나단 레서 선임연구원은 "지중해성 기후를 가진 캘리포니아는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기 때문에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 캘리포니아주 정부는 말라죽은 나무와 덤불을 제거하지 않고 방치하면서 산불이 악화될 조건을 만들었다"면서 "친환경에 집중하느라 소홀해진 캘리포니아의 산불 예방 노력이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LA 서부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시작된 이번 산불은 서울 여의도의 35배에 이르는 면적을 태우면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자연재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총 피해규모는 2500~2750억달러(약 366조~402조원)로 추산되고 있다.

(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차, 올해 청년 7200명 신규 채용...내년엔 1만명 확대 검토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총 7200명을 신규 채용한다고 18일 밝혔다. 내년에는 청년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현대차그룹의 청년

롯데카드, 해킹으로 297만명 정보 털렸다...카드번호, CVC까지 유출

롯데카드 해킹 사고 피해규모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롯데카드는 피해 고객 전원에게 전액 보상을 하겠다는 방침이

삼성전자, 5년간 6만명 신규채용...'반도체·바이오·AI' 중심

삼성전자가 성장사업 육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앞으로 5년간 6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18일 밝혔다. 매년 1만2000명씩 채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상장기업 보고, 6개월로 바꾸자"...트럼프 주장에 美 또 '술렁'

미국 상장기업의 보고서가 분기에서 반기로 변경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17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장기업의

카카오, 지역 AI생태계 조성 위해 5년간 '500억원' 푼다

카카오그룹이 앞으로 5년간 5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지역 인공지능(AI) 생태계 육성에 투자한다고 18일 밝혔다. 카카오그룹은 지역 AI 육성을 위한 거점

[ESG;NOW] 올해 RE100 100% 목표 LG엔솔 '절반의 성공'

국내 많은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내세우면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보고서 혹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

기후/환경

+

가뭄이거나 폭우거나...온난화로 지구기후 갈수록 '극과극'

전 지구적으로 기후 불균형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8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는 '글로벌 수자원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수개월째 비가

"재생에너지 188조 필요한데…정책금융 투자액은 여전히 안갯속"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려면 재생에너지 설비에 188조원을 투자해야 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하는 정책금융 대부분은 재생에너지보다 화

지역 1인당 교통 배출량, 서울의 2배…"무상버스가 대안"

비수도권 교통 배출량이 서울의 2배에 달하면서 '무상버스'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녹색전환연구소가 18일 발표한 보고서 '작은 도시의 교통 혁명,

'2035 NDC' 60% 넘어설까...환경부, 7차례 토론회 연다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대국민 논의가 시작된다.환경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달 14일까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뜨거워지는 한반도...2100년 폭염일수 9배 늘어난다

한반도 기온이 매년 상승하고 있어 2100년에 이르면 여름철 극한강우 영향지역이 37%로 확대되고 강수량도 12.6% 증가한다는 전망이다. 또 폭염일수도 지

국민 61.7% "2035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60% 넘어야"

우리나라 국민의 61.7%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60% 이상 감축해야 한다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왔다.기후솔루션이 지난달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200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