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불구덩이로 만든 'LA 산불'의 결정적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지목됐다. 지난해 5월초 이후 비가 한방울도 내리지 않으면서 나무들이 바싹 말라붙어 이번 산불을 키우는 불쏘시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13일(현지시간) 현재 LA에서는 여전히 대형 산불 2건이 일주일째 확산 중이다. LA 카운티 서부 해변 퍼시픽 팰리세이즈에서 발생한 '팰리세이즈 산불'은 진압률이 14%이며, 동부 내륙의 '이튼 산불'은 33%의 진압률을 보이고 있다. 북부 샌퍼넌도 밸리에서 발생한 '허스트 산불'를 비롯한 나머지 산불들은 모두 진화됐다.
이번 산불로 입은 경제적 피해는 2000억달러, 우리 돈으로 약 292조7000억원으로 추산됐다. 미국 역사상 가장 큰 피해규모다. 이 마저도 산불이 완전히 진압되지 않아 앞으로 피해규모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불타버린 면적도 무려 153.1㎢에 이른다. 여의도 면적(4.5㎢)의 34배에 이른다. 605.2㎢에 달하는 서울면적의 4분의 1이 모두 타버렸다. 사망자는 팰리세이즈 산불 지역에서 8명, 이튼 산불 지역에서 16명이 발생했다. 실종자도 23명이나 된다. 화재로 소실된 건물은 1만2000여채가 넘는다. 지금도 9만2000여명이 대피해 있으며, 8만9000여명이 대피준비 경고를 받았다.
이번 산불이 역사상 가장 피해를 몰고온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이 주된 원인이다. LA는 지난해 5월 5일 이후 8개월간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통상 이 지역은 여름은 고온건조한 날씨를 보이지만 겨울에는 비가 자주 내리는 편이다. 지난 2022년 11월~2023년 3월 사이에 '대기의 강' 현상으로 폭우가 쏟아졌던 지역이었다.
그런데 LA 카운티의 지난 30일간 강수량은 과거 1991∼2020년 30년간의 동기간 평균 대비 25∼50%에 그쳤다. 지역 습도는 10∼20%대로 낮다. 여름의 고온건조한 날씨가 수개월째 이어지다보니 수풀은 모두 말라있는 상태였다.
'이튼 산불'이 발생한 앤젤레스 국유림의 '이튼 댐' 관측소에서 측정한 3개월여간의 누적 강수량은 고작 2.3㎜에 불과하다. 역대 같은 기간 평균치인 521.5㎜와 비교하면 228분의 1 수준이다. '팰리세이즈 산불'이 발생한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의 '빅 록 메사' 관측소에서 측정한 3개월여간의 누적 강수량은 5.08㎜로, 역대 같은 기간 평균치 421.6㎜ 대비 83분의 1 수준이다.
여기에 일명 '악마의 바람'으로 불리는 국지성 돌풍 '샌타애나'가 산불을 급속히 번지게 만들었다. 가을에서 겨울에 이 지역에 부는 '샌티애나'는 시속 80km에서 160km에 달할 정도로 매우 강한 바람이다. 바싹 마른 나무에 매우 강하게 부채질을 한 꼴이다. 그러니 산불이 순식간에 확산될 수밖에 없고, 진화도 쉽지 않다.
문제는 14일~15일(현지시간)에 또다시 '샌티애나'가 불어닥칠 것으로 예보돼 있어, 현재 LA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한 상태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간)부터 바람이 강해지고 있으며, 14일(화요일) 오전 4시부터 15일(수요일) 정오까지 일부 지역에서 시속 89∼113㎞의 강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NWS는 13일(현지시간) LA 카운티와 벤투라 카운티에 화재 적색경보를 발령하고 "특별히 위험한 상황"(Particularly Dangerous Situation ; PDS)이라고 강조했다.
LA 소방당국은 '샌티애나' 돌풍이 닥치기전에 산불 진압률을 높이기 위해 바닷물까지 퍼붓고 있지만, 바람 앞에 산불을 잠재울 수 있을지 전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