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우주농작물 되나?...우주선에서 재배 시도한다

원은수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6 17:13:09
  • -
  • +
  • 인쇄

호주의 푸디크글로벌(FOODiQ Global)이 세계 최초로 우주에서 버섯 재배에 도전한다. 재배에 성공한다면 우주환경에서 식량자급을 해결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푸디크글로벌은 항공우주장비 생산기업인 스페이스X의 프램2(Fram2) 미션을 통해 우주에서 처음으로 버섯 재배를 시도한다. 이 실험은 4월초 발사되는 프램2 미션에 탑승해 진행될 예정이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느타리버섯의 성장 과정을 관찰할 계획이다.

프램2 미션은 지구의 극지방을 도는 최초의 유인 우주비행 미션으로, 푸디크글로벌은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실험을 맡았다. 미션은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푸디크글로벌의 CEO인 플라비아 파예트-무어(Flávia Fayet-Moore) 박사는 "버섯은 빠르게 성장하고 생으로 먹을 수 있으며, 영양가가 높아 우주 농작물로 매우 적합하다"며 버섯을 "완벽한 우주 농작물"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주에서는 아직 음식을 처리할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미 항공우주국(NASA)은 '재배, 수확, 먹기'가 가능한 농작물, 예를 들어 상추, 토마토, 버섯 등에 대한 연구를 우선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버섯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비타민D가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파예트-무어 박사는 "버섯은 하루에 2배씩 자란다"며 "특별한 비료나 많은 물이 필요없다"며 우주에서 버섯을 키우기 적합한 이유를 설명했다. 또 "버섯은 채소에서 발견되는 칼륨뿐만 아니라 견과류와 씨앗에서 발견되는 셀레늄과 구리도 함유하고 있어 영양 밀도가 매우 높은 식품"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실험이 성공을 거두면 우주에서 식량문제를 해결하게 될 전망이다. 나사는 달과 화성 탐사를 위한 식량과 영양 연구를 우선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번 실험은 그 일환으로 진행된다. 또 이번 실험은 이후 우주탐사 미션에 있어 필수적인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