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미국 꿀벌 60% 실종..."역사상 최대 규모 손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6 17:36:37
  • -
  • +
  • 인쇄

올겨울 미국에 서식하는 꿀벌 60%가 사라지거나 폐사됐다. 겨울마다 폐사되기도 하지만 절반 넘게 사라지거나 폐사되는 경우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영리단체 'PAm'(Project Apis m)이 25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 서식하는 꿀벌 가운데 60%가 올겨울 폐사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드러났다. 금액으로 따지면 1억3900만달러(약 2034억8200만원)에 달한다. 꿀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꿀 가격은 5%가량 올랐다.

전례없는 규모로 벌집이 감소하면서 양봉업자들은 파산 위기에 내몰렸다. PAm이 미국 양봉업자 3분의 2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양봉업자 대부분은 "벌도, 죽은 벌도, 집의 자산도, 은퇴금도, 가족의 돈도 모두 사라졌다"며 "남은 건 빈 상자뿐"이라고 하소연했다.

스콧 맥아트 미국 코넬대학 곤충학과 조교수는 "올겨울 꿀벌 폐사율은 지난해 발생한 기록적인 감소율보다 더 높은 수치"라며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꿀벌 손실"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에 있는 꿀벌 군체는 380만개로, 5년전보다 100만개 더 늘었다. 맥아트는 많은 사람들이 양봉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더 많은 군집이 생겨나고 있지만 "공급량이 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집 손실률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상 겨울에 벌 군집의 일부가 폐사하기도 한다. 그러나 20년전까지만 해도 겨울철 꿀벌 폐사율은 10~20%에 그쳤다. 반면 현재 꿀벌 폐사율은 50~60%에 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군집 전체가 완전히 사라지거나 죽어버리는 '군집 붕괴'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서식지 파괴, 살충제 사용이 벌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기에 양봉벌의 경우 영양 부족, 열악한 관리관행, 바로아진드기, 질병 등도 피해를 입혔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 꿀벌 개체수가 줄면서 꿀과 일부 식량작물 공급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곤충의 감소가 식량생산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꿀벌이 사라지는 주요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데 집중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에서 조사 중이었지만, 최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인력이 크게 감축되면서 진척이 부진해진 상황이다. 연구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약 한달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맥아트 교수는 "매년 손실이 더 심해지고 있다"며 "올해 일부 아몬드 과수원에서는 수분매개자가 부족해졌고, 이런 영향이 다른 작물에도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구글 DC 하나가 57만톤 배출?…AI로 英 탄소감축 '빨간불'

영국에 설립될 구글의 신규 데이터센터(DC)가 연간 57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할 것으로 추정되자, 환경단체와 기후전문가들이 환경 영향에 대해 강력히

인천 온실가스 49% 비중 영흥화력..."2030년 문 닫아야" 촉구

수도권 내 유일한 석탄발전소인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의 2030년 폐쇄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목소리가 모였다. 기후위기인천비상행동과 전국 시민연대체

'2035 NDC' 뜸 들이는 EU...기후 선도그룹 위상 '흔들'

유럽연합(EU)이 올해 유엔(UN)에 제출해야 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에 대한 감축목표를 기한내에 확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회

태양빛으로 방사능 오염된 토양 정화하는 '인공식물' 개발

태양빛으로 방사능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인공식물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울산과학기술원(DGIST) 화학물리학과 김성균 교수연구팀은 태

강릉 저수율 16.5%까지 상승...수요일 또 강릉에 '반가운 비'

강릉 시민들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6일 오전 6시 기준 16.5%를 기록했다. 주말 전후 오봉저수지 인근에 내린 81㎜의 비가 지

폭염 극심했던 유럽...올해 이상기후로 입은 피해 '70조원'

올해 극한기후로 인해 유럽이 약 430억유로(약 70조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독일 만하임대학과 유럽중앙은행(ECB) 연구팀은 올여름 폭염과 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