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CCU·무탄소...과기정통부 '기후환경 R&D 신규과제' 선정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4 17:20:01
  • -
  • +
  • 인쇄
▲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 개요 (자료=과기정통부)

정부가 올해 기후환경 연구개발(R&D) 신규과제로 수소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무탄소에너지 등 6개 사업 27개를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변화 대응 및 글로벌 협력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20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를 이같이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투입하는 862억원 가운데 233억7000만원을 신규과제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먼저 '제1차 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수소, CCU 분야에서는 국제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국립연구소와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 등 12개 기관과 차세대 수전해(AEM 및 SOEC) 혁신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수전해 기술은 물을 전기로 분해해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차세대 수전해 기술인 AEM과 SOEC 기술은 그린수소를 생산해내는 기술이다.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수소에 색깔을 넣어 이름을 붙인다. 그린수소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이 거의 없이 만들어지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전기는 재생에너지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높은 편이다. 이번에 수행하는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 내구성 향상 연구는 수소 생산에 안정적인 에너지 효율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분야는 비용을 낮추기 위해 미국·영국 등과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항공유(e-SAF) 생산 연구가 이뤄질 예정이다. 지속가능항공유는 동식물성 기름 등으로 만든 친환경 항공유를 말한다. 이는 석유기반 항공유에 비해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기후예측모델도 개발할 예정이다. 기존 물리법칙 등 역학 기반 기후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순수 AI 기후예측모델의 빠른 처리속도를 결합한 AI-역학 전지구 기후모델 개발, AI를 활용한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등을 통해 급변하는 한반도 기후의 중장기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탄소에너지 개발사업에도 속도를 낸다.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 무탄소 연료활용·초고성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및 국내외 현장 적용을 위한 기반기술(내구성, 안정성 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태양전지보다 효율성이 35% 이상 높아진 다중접합 태양전지 개발을 통해 적용공간 한계를 극복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700℃ 이상 고온에서 운용되는만큼 내구성 부족 이슈를 극복하고 효율성을 높이는ㄴ데 초점을 맞춰 연료전지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제철 공정의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액상연료(메탄올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발전소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고, 수전해 수소를 활용하여 고상원료(합성원유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선정된 과제에 대해 최대 6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30년간 전세계 해수면 10cm 상승..."상승속도 점점 빨라져"

해수면 상승 속도가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위성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지구의 해수면은 약 10c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