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CCU·무탄소...과기정통부 '기후환경 R&D 신규과제' 선정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4 17:20:01
  • -
  • +
  • 인쇄
▲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 개요 (자료=과기정통부)

정부가 올해 기후환경 연구개발(R&D) 신규과제로 수소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무탄소에너지 등 6개 사업 27개를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변화 대응 및 글로벌 협력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20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를 이같이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투입하는 862억원 가운데 233억7000만원을 신규과제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먼저 '제1차 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수소, CCU 분야에서는 국제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국립연구소와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 등 12개 기관과 차세대 수전해(AEM 및 SOEC) 혁신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수전해 기술은 물을 전기로 분해해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이다. 차세대 수전해 기술인 AEM과 SOEC 기술은 그린수소를 생산해내는 기술이다.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수소에 색깔을 넣어 이름을 붙인다. 그린수소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이 거의 없이 만들어지는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전기는 재생에너지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생산비용이 높은 편이다. 이번에 수행하는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 내구성 향상 연구는 수소 생산에 안정적인 에너지 효율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분야는 비용을 낮추기 위해 미국·영국 등과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항공유(e-SAF) 생산 연구가 이뤄질 예정이다. 지속가능항공유는 동식물성 기름 등으로 만든 친환경 항공유를 말한다. 이는 석유기반 항공유에 비해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기후예측모델도 개발할 예정이다. 기존 물리법칙 등 역학 기반 기후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순수 AI 기후예측모델의 빠른 처리속도를 결합한 AI-역학 전지구 기후모델 개발, AI를 활용한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등을 통해 급변하는 한반도 기후의 중장기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탄소에너지 개발사업에도 속도를 낸다.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 무탄소 연료활용·초고성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및 국내외 현장 적용을 위한 기반기술(내구성, 안정성 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태양전지보다 효율성이 35% 이상 높아진 다중접합 태양전지 개발을 통해 적용공간 한계를 극복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700℃ 이상 고온에서 운용되는만큼 내구성 부족 이슈를 극복하고 효율성을 높이는ㄴ데 초점을 맞춰 연료전지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제철 공정의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액상연료(메탄올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발전소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고, 수전해 수소를 활용하여 고상원료(합성원유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선정된 과제에 대해 최대 6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기후/환경

+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벌채지역 제품 판매금지...유럽 '산림벌채법' 앞두고 회원국들 반발 확산

오는 12월 세계 최초로 '산림벌채법'(EUDR) 시행을 앞두고 있는 유럽연합(EU)에서 주요 회원국들이 규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법은 벌채된 땅에서

온난화로 빙하 녹으면서…전세계 화산 폭발 더 격렬해진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그 영향으로 전세계 화산 폭발이 더 빈번하고 규모도 커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연구

전세계 덮친 가뭄 '지구적 재앙'…강원 동해안도 생활·농업용수 위기

전세계가 폭염뿐 아니라 가뭄의 습격도 받고 있다. 지구 곳곳에서는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면서 물부족 사태를 겪고 있고, 우리나라 강원도 동해안의

폭염에 카디건·셔츠 매출 '쑥'...이상기후에 뜨는 '시즌리스 상품'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서 백화점 소비패턴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장마철 대표 아이템으로 꼽히던 레인부츠와 방수재킷 대신 실내 냉방 환경에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