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상승, 기후재해, 병충해 등으로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등 바나나 주요 재배국가들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바나나 수확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지역사회가 황폐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이자 밀, 쌀, 옥수수 다음으로 세계 4위의 주요 식량작물이다. 전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바나나의 약 80%는 내수용이며, 4억명 이상의 인구가 일일 칼로리의 15~27%를 바나나로 섭취한다.
또 전세계 유통되는 바나나의 약 80%가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생산된다. 이 지역들은 기후재해에 가장 취약한 지역 중 하나다. 즉 바나나는 인간이 초래한 기후위기에 가장 큰 위협을 받고 있으면서 바나나가 주식량원이고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은 지역사회도 생계위험에 처했다.
특히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캐번디시 바나나종은 기후에 민감하다. 잘 자라려면 15°C에서 35°C 사이의 온도와 적당한 양의 물이 필요하다. 물을 너무 많이 줘도 안된다. 바나나는 폭풍에도 매우 민감하다. 잎이 찢어지면 광합성 작용이 훨씬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적 변이도 적어 급변하는 기후에 특히 취약하다.
과테말라에서 바나나를 재배하는 농부 아우렐리아 팝 소는 "기후변화로 농작물이 죽어가고 있다"며 "아무것도 팔 수 없어서 수입이 없고, 제 농장이 죽어가고 있다"고 호소했다.
기후위기는 재배 환경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고, 곰팡이성 질병을 확산시킨다. 검은잎곰팡이는 바나나 나무의 광합성 능력을 80%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습한 환경에서 번성한다.
기온 상승과 강우 패턴의 변화는 푸자리움 열대종4(Fusarium Tropical Race 4)라는 곰팡이도 번성시켜 전세계 캐번디시 농장 전체를 황폐화시키고 있다.
크리스천에이드의 오사이 오지그호 정책·캠페인 책임자는 "바나나는 전세계가 가장 좋아하는 과일일 뿐만 아니라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식량"이라며 "기후변화가 이 필수 작물에 위험을 미치고 기후위기를 일으키지 않은 사람들의 생명과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