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5 16:27:00
  • -
  • +
  • 인쇄
▲허드 섬 (사진=위키백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

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팀은 인도양 남부에 위치한 허드섬의 빙하가 70년 사이에 약 4분의 1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항공사진·지도를 위성 데이터와 결합해 분석한 결과, 1947~2019년 섬 기온이 0.7℃ 오르면서 빙하 면적이 289㎢에서 22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47년 이후 허드섬의 빙하 29곳이 녹고 있으며, 특히 섬 동부에 위치한 스티븐슨 빙하는 최대 6km까지 후퇴할 정도로 녹아버렸다. 지난 20년동안 이 빙하는 연평균 178m씩 후퇴했다. 인근 로렌스 반도의 빙하 손실은 더 심각하다. 1947년 면적이 10.5㎢에 달했던 빙하는 2019년 2.2㎢밖에 남지 않았다.

연구팀은 빙하가 사라지는 원인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지목했다. 논문의 저자 중 한 명인 앤드류 매킨토시 SAEF 수석연구원은 "빙하는 작은 온도 변화에도 매우 민감하다"며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에서 자유로운 곳이 없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허드섬은 호주 퍼스에서 남서쪽으로 4100km, 남극에서 북쪽으로 1500km 떨어진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무인도임에도 불구하고 올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 관세를 부과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섬에는 호주 유일의 활화산인 빅벤이 있으며 펭귄, 슴새류, 알바트로스 같은 바닷새를 비롯해 코끼리물범 그리고 이 섬에서만 자라는 고유 식물종이 서식한다.

저스틴 쇼 호주 퀸즐랜드공과대학 SAEF 부교수는 "남반구 수목한계선(식물이 자랄 수 없는 환경)에 위치한 허드섬에 자라는 식물은 단 1종"이라며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에 완벽한 장소"라고 설명했다.

쇼 박사는 빙하가 녹으면 이 섬에 사는 생태계에 위험을 초래하고 노출된 맨땅이 늘면서 침입 식물종이 자리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여기에 빙하가 사라진 자리에 석호가 나타나면서 새들이 둥지를 틀 땅이 사라지고, 해안 침식을 일으킬 수 있다고 쇼 박사는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극저온'(Cryosphere)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