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품일줄 알고 샀는데 '짝퉁'...환급도 어려워 신고 꺼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19 09:31:07
  • -
  • +
  • 인쇄
▲SNS 플랫폼 상의 가품 판매 실태 (사진=소비자원)


가품(짝퉁)인 줄 모르고 온라인 구매한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환급 절차가 복잡하다는 이유 등으로 신고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품인 줄 알고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지식재산권에 대한 문제의식이 낮았다.

19일 한국소비자원은 공식사이트 대비 지나치게 낮은 가격, 가품임을 암시하는 표현 등 가품 의심 정보를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해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 40개 중 72.5%(29개)의 가격이 공식사이트보다 20% 낮게 판매되고 있어 저렴한 제품 구입시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 및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접수된 국내외 주요 온라인 플랫폼의 가품 관련 상담 건수는 총 1572건으로, 이 가운데 가방이 21.0%(330건)으로 가장 많았다. 가방 관련 상담건수는 계속 증가해왔으며, 고가의 해외 브랜드 관련 제품이 많았다. 이 외에도 신발 14.5%(228건), 화장품 12.5%(196건), 음향기기 10.9%(171건), 의류 9.4%(147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네이버 밴드,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에서는 상품 게시글 27개 중 51.8% (14개)에서 가품을 암시하는 표현(정품급 등)이 사용됐다. 또 66.7%(18개)는 외부 채널을 통해 거래를 유도하거나, 판매자의 가입 승인이 필요한 비공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네이버 밴드는 가품 거래를 유도하는 계정을 차단 조치했다고 소비자원에 회신했다.

가품인지 모르고 구입한 소비자들은 대부분 복잡한 절차로 인해 환급 요구에 소극적이었다. 이들 500명 중 약 절반(49.0%, 245명)이 정품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지 않고 구입했는데, 그 이유는 '온라인 플랫폼을 신뢰해서'(36.7%, 90명)였다.

또 58.6%(293명)는 사용 중 가품 사실을 알게 된 후에도 환급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이유는 주로 '환급 절차가 복잡하거나 시간이 오래 소요'(60.4%, 177명)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가 하면 가품임을 알고 구입한 소비자(500명)의 68.4%(342명)는 가품 유통에 대한 법적 문제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답해, 가품 구입에 대한 소비자의 책임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가품 구입은 브랜드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동"이라며 "건강식품이나 화장품의 경우 안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원은 조사대상 사업자에게 △쇼핑몰 내 가품 판매 차단을 위한 대책 마련 △SNS 플랫폼 내 가품 관련 단어 사용 제한 △가품 신고 방법의 사전 안내 등을 요청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궁금;이슈] 경찰 출두한 방시혁...투자자에게 IPO계획 숨겼다?

글로벌 스타 방탄소년단(BTS)를 탄생시킨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IPO) 계획을 숨기고 지분 매각을 유도했다는 혐의를 조사받기

해군 입대한 이재용 삼성 회장 장남...해군 통역장교로 복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가지고 있던 이씨는 해군 장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기후/환경

+

"2035년 NDC 61.2% 정해야...산업 경쟁력 강화할 기회"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1.2%로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15일 국회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성명을 통해 "20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성조사 착수...공기중 조류독소도 조사

환경부가 환경단체와 함께 낙동강 녹조 조사에 착수한다.환경부는 15일 오후부터 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에 대한 조류

국립공원 개구리 산란시기 18일 빨라졌다...기후변화 뚜렷한 징후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들이 기후변화로 산란시기가 앞당겨진 것이 확인됐다.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산림과 무인도서에서 장기간 생

호주 시드니 3°C 오르면..."온열질환 사망자 450% 급증할 것"

지구 평균기온이 3℃ 상승하면 호주 시드니에서만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450%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기후청과 기후변화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