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명을 다한 '풍력터빈 블레이드'에 대한 재활용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지 않으면 관련 폐기물이 쏟아져나오면서 향후 몇 년 내에 새로운 환경문제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유럽의 풍력발전협회 '윈드유럽(WindEurope)'에 따르면 2030년까지 유럽은 약 1만4000개의 풍력터빈을 해체해 4만~6만톤의 블레이드 폐기물을 배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독일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풍력터빈 폐기물은 약 2만3300톤, 스페인은 1만6000톤, 이탈리아는 2300톤에 이른다.
미국의 배출량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에서 승인된 풍력발전단지의 수명이 다하면 2050년까지 풍력터빈 블레이드 폐기물이 연간 약 20만~37만톤이 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풍력터빈의 약 85~90%는 재활용이 쉬운 강철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탄소섬유 소재의 블레이드는 분해가 너무 어렵다. 또 일부 터빈은 매립지에 버려진 것으로 알려져 지속가능성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풍력발전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바로 이 지점을 지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터빈이 "8년 안에 녹슬고 썩기 시작한다"고 주장하며 풍력발전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의 이런 주장은 전문가들에 의해 일축됐다. 스코틀랜드의 블레이드 재활용 기업가인 스티븐 린제이는 "현실은 트럼프가 묘사한 것과 다르다"며 "오래된 풍력발전단지를 해체하는 것은 어제의 청정에너지 자산을 내일의 원자재로 전환하는 인프라 관리"라고 말했다. 그는 터빈 블레이드를 인프라 자재에 사용하고, 블레이드에서 탄소섬유를 추출해 다시금 블레이드를 만드는 등 다방면으로 재활용해왔다고 강조했다.
해그쇼힐 풍력발전단지를 소유한 에너지기업 스코티시파워는 경쟁업체인 SSE와 협약을 맺고 폐기된 블레이드를 전기차 충전소, 버스정류장, 자전거 정류장 등에 재활용하기로 했다.
스코티시파워의 모회사인 이베르드롤라는 올여름초 이베리아 반도에 신설된 신규 재활용 시설이 연간 최대 1만톤의 블레이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2030년까지 예상되는 전체 폐기물의 6분의 1에 해당한다. 이 프로젝트는 블레이드에 들어간 유리섬유와 수지를 회수해 에너지, 항공우주, 자동차, 섬유, 화학, 건설 등 분야에서 재사용하는 것이 목표다.
풍력발전 업계는 정부 및 산업협회와 긴밀히 협력해 보다 재활용이 쉬운 차세대 풍력 터빈 블레이드와 재활용 시설을 개발하겠다고 약속했다. 덴마크 에너지기업 오르스테드는 "재활용 방안을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폐기된 블레이드는 매립하지 않고 임시 보관해둘 것"이라고 밝혔다.
그런 한편 업계는 기존 터빈 수명 연장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 정부지원 혁신기관인 해양재생에너지(ORE) 캐터펄트는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개발업체 RWE와 협력하고 있다. 이들의 초기 테스트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수명을 약 50% 더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됐다.
ORE 캐터펄트의 수석 지속가능성 엔지니어인 로나 베넷은 "향후 5년 내에 영국 해역에서 약 500개의 해상 풍력터빈이 수명을 다할 예정"이라며 "풍력터빈의 설치 수를 늘리는 방법뿐만 아니라 현재 터빈의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짚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