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기후위기 대응을 약속이 아닌 실행을 하려면 기후금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동감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기후전환을 뒷받침할 금융·투자 구조 구축이 핵심 과제로 다뤄지고 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과 각국 대표단은 "기후정책은 선언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며 실제 프로젝트로 이어지는 자금 흐름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남반구 국가들은 기후금융·기술협력 플랫폼을 새롭게 제안했다. 개발도상국이 필요한 기술을 신속히 공유받고, 공적·민간 금융과 직접 연결해 현장 사업으로 이어지게 하는 체계다. 브라질 의장단도 "개도국 전환을 뒷받침할 금융 접근성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각국은 또 2035년까지 연간 1조3000억달러의 글로벌 기후대응 재원 확보 로드맵에 대한 논의를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 산업 효율 개선, 운송·물류 탈탄소화 등 부문별 투자 수요가 구체화되는 가운데 민간자본 유입을 늘리기 위한 글로벌 금융분류체계 확립의 필요성이 잇따라 제기됐다.
하지만 일부 개도국은 선진국이 기존 약속이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 아프리카 국가의 대표단은 "지원 공약도 지켜지지 않았는데 새로운 목표만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유럽연합(EU)과 기후취약국 그룹은 "민간투자를 포함한 전환형 금융구조가 필수"라며 실행 기반의 시스템 개편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COP30이 금융 논의를 중심으로 한 '실행 COP'로 전환되는 신호라고 평가한다. 국제기구 관계자는 "문구 합의에서 벗어나, 실제 투자가 움직이는 흐름을 만드는 것이 중심으로 떠올랐다"며 "금융시스템 전환이 COP30 최종합의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벨렝 협상에서는 향후 고위급 회의에서 각국이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과 투자 전환 조치를 어디까지 제시할지가 다음 단계 협상의 핵심 고비로 꼽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