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감염학회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공동연구팀은 첨단 연구기법인 'MHC-I 다량체 형광염색법'으로 코로나19-특이 T세포를 검출해 그 특성과 기능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T세포'는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급성기와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의 말초 혈액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했다. 이후 MHC-I 다량체 형광염색법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특이 T세포를 직접 검출해 항바이러스 사이토카인 분비 능력을 측정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감염에서 회복된 후에 정상적인 기억 T세포 면역반응이 유발되며, 특히 회복 후기부터는 줄기세포를 닮은 기억 T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는 코로나19 회복자에서 기억 T세포 면역반응이 상당히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다.
코로나19-특이 기억 T세포는 인플루엔자-특이 기억 T세포보다 사이토카인 분비가 다소 적기는 했지만, 특별한 기능부전 없이 잘 작동했다.
나민석 카이스트 박사후연구원은 "T세포 기억 면역반응의 특성을 밝혔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백신에 의해 유발되는 면역반응의 특성 규명도 탄력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T세포의 기능 부전을 유발한다는 감염병 확산 초기의 정보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증명하는 등 지금까지 수행된 코로나19-특이 T세포에 대한 연구 중 가장 정교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연구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 '면역'(Immunity) 12월 10일자에 발표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