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세계 이끌 선도국가'...다보스가 한국을 인정한 3가지 이유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42:34
  • -
  • +
  • 인쇄
文 '한국판 뉴딜' 소개...WEF·지멘스 "영감 불러일으켜"
아스트로제네카 CEO "韓 글로벌 엔진으로 도약 확신"

세계경제포럼(WEF)이 코로나 이후 세계가 주목할만한 선도모델로 '한국'을 조명했다.

WEF는 지난달 25~29일 진행된 온라인 세미나에서 올해를 "신뢰 재건을 위한 중요한 해"(Crucial Year to Rebuild Trust)로 지정하고 '원대한 리셋'(The Great Reset)을 핵심 의제로 내걸었다.

'원대한 리셋'은 수요를 유지해 세계경제의 판이 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다. 전세계가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각국은 국경을 걸어 잠그고, 사회구성원은 서로를 적대시하는 바람에 기술격차가 더 벌어져 불평등이 확산됐다. 극심한 양극화와 사회갈등은 세계를 지탱해온 모든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결국 이대로 가면 세계경제는 붕괴할 게 뻔하다는 것이 WEF의 진단이다.

이런 가운데 무엇보다 중요한 건 '신뢰'를 되찾는 일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세계적 재난 앞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서로를 믿고 의지하며 다함께 위기를 이겨낼 수밖에 없는 상황. 그간 '경쟁'과 '성장'처럼 보수적인 의제를 강조해온 WEF가 '리셋' 버튼을 누르고 신뢰 재건을 위한 '포용'과 '협력'의 기치를 내건 것은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신뢰 재건을 위해 WEF가 주목한 나라는 한국이다. 지난달 27일 문재인 대통령은 10여개국의 정상과 주요 국제기구 수장, 500여명의 글로벌 기업 CEO가 한데 모인 온라인 세미나에서 특별연설을 맡았다. 그는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과정과 '한국판 뉴딜'을 소개하고 탄소 중립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끝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과의 협력과 투자를 강조하며 연설을 마무리했다.

▲매년 세계경제포럼이 열리는 스위스 다보스의 인터컨티넨탈호텔 (출처=인터컨티넨탈 다보스)

이후 문재인 대통령과 비공개로 질의를 나눈 참여자들은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성공적인 대응과 앞으로의 가능성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 연설 이후 클라우스 슈밥 WEF 회장은 "대통령 말씀은 진정으로 영감을 불러일으킨다"며 "한국이 준비해놓은 무대는 큰 교감을 형성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 바 매우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짐 스나베 지멘스 회장도 "한국은 첨단기술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강력하고 선도적인 국가로 두각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처럼 WEF 참여자들 대부분이 한국을 코로나 이후 세계경제를 견인할 선도적 국가로 보는데는 3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위기관리 능력'이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가 전세계를 덮치기전 비교적 확산초기에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탓에 대응책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다. 그럼에도 국민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코로나19 확산을 잠재웠고, 지난해 3분기부터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피터 피오 런던 위생·열대의학 대학원 학장은 "전반적으로 한국이 매우 효과적인 위기관리와 장기적 차원의 사회-보건-경제에 대한 비전을 결합시킨 데 대해 특별하다고 느꼈고, 상당히 감명을 받았다"면서 "이런 접근은 매우 통상적이지 않지만 이것이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 각국, 그리고 전세계가 필요로 하는 방식"이라고 밝혔다.

둘째는 '포용력'이다. 우리나라는 국적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무료로 신속하게 검사했고 격리 치료를 받도록 했다. 마스크가 부족했을 때에는 마스크 5부제로 전국민 모두가 공평하게 필요한 만큼 마스크를 구입할 수 있도록 했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코백스(COVAX)를 통해 상대적 저소득 국가를 위해 백신을 공급하기로 약속했다. 코백스는 코로나19 백신의 공동개발 및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다. 또 연설에서 언급된 '이익공유제'는 코로나로 이득을 본 기업이 자발적인 출연으로 코로나 약자들을 돕는 정책 모델이다. 원래 이익공유제는 원하청 관계에서 비롯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를 줄이기 위한 기금개념이었지만 이를 사회적 개념으로 확대한 것이다.

셋째는 '기술력'이다. 올해 WEF에서 다뤄질 의제 중 하나는 "선의를 위한 기술"(Tech for Good)이다. 기술이 인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를 위한 차세대 정책과 거버넌스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가지식정보 플랫폼 '디지털 집현전' 구축이 본격화됐고, 국민이 수시로 참여해 제공한 민간공익데이터를 사회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정부혁신추진협의회'가 마련 중이다. 협의회는 '국민과 함께하는 탄소중립(Net-Zero) 실현'을 과제로 선정해 탄소중립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탄소 중립 추진의 동력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문 대통령이 연설할 때 주변에 비치된 소품들도 추격국가에서 선도국가로 거듭난 한국의 위상을 실감케 했다. 문 대통령 뒤쪽으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문화예술친선대사로 활동한 이이남 작가의 미디어 병풍이 펼쳐져 있고, 책상 위에는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전기차 넥쏘의 18분의 1 축소 모형, LG 롤러블 TV, 순수 국내기술의 블레이드를 장착한 해상풍력발전기의 1:600 축소 모형 등이 놓여있어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연설의 마무리는 지난해 빌보드 싱글차트 1위를 하며 세계인의 사랑을 받은 방탄소년단(BTS)의 '다이너마이트'(Dynamite)가 장식했다.

▲문재인 대통령 우측에 넥쏘와 해상풍력발전기 모형이 소품으로 놓여있고, 뒷쪽에는 이이남 작가의 미디어 병풍이 펼쳐져 있다. (출처=KTV국민방송)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산업은행 녹색채권 25% '전기차 구매지원'...기후테크 투자는 '쥐꼬리'

산업은행 녹색채권 자금이 전기자동차 보급에 치우쳐 있고, 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

삼성중공업, 11.5만톤급 수소연료전지 추진 선박 만든다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선급(BV)으로부터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의 기본설계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암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LG U+, 표준협회 콜센터품질지수 통신업종 2개 부문 1위

LG유플러스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5년 콜센터품질지수(KS-CQI) 조사'에서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IPTV 2개 부문에서 최우수기업으로

셀트리온, 美 일라이 릴리 공장 인수..."인수와 증설에 1.4조원 투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소재한 약 4600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신품종 '그린로즈' 개발

CJ제일제당이 국내 최초로 여름철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배추는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있는 대

기후/환경

+

친환경인줄 알았더니…야자매트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등산로·둘레길에 깔린 야자매트에 플라스틱 섬유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광주환경운동연합은 광주지역 7곳에 설치된 야자매트를 조사한 결과

230㎞ 강풍과 폭우로 '초토화'...태풍 '라가사' 대만 휩쓸고 중국行

올해 발생한 태풍 가운데 가장 강력한 제18호 태풍 '라가사'가 필리핀 북부와 대만을 강타하며 엄청난 피해를 낳고 있다. 라가사는 계속 북서진하고 있

산업은행 녹색채권 25% '전기차 구매지원'...기후테크 투자는 '쥐꼬리'

산업은행 녹색채권 자금이 전기자동차 보급에 치우쳐 있고, 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

정부 "2035 재생에너지 37% 늘려 전력부문 탄소감축 높이겠다"

정부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최대 37%까지 늘려서 전력생산 부문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68~79%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비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날씨] 가을 알리는 '요란한 비'...24일 시간당 20∼30㎜ 폭우

오는 23일 밤부터 남해안에 비가 내리기 시작해 24~25일 많은 비가 오겠다. 이 비가 그치면 가을이 성큼 다가온다.23일 오전 제주에서 내리기 시작한 비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