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플 '반독점 규제' 승리?..."이제 시작일뿐' 줄입법 예고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50:13
  • -
  • +
  • 인쇄
美노스다코타주 '2333법안' 무산 불구 CAF '주별 입법'
구글-애플, 앱마켓수수료 30% 챙겨 연간 '36조원' 수익
▲앱개발자들은 구글과 애플의 '과도한 수수료'와 '앱마켓 독과점'에 대항하고 있다. 

'IT공룡' 구글과 애플을 향한 '앱마켓 반독점 규제'가 미국 노스다코타주에서는 무산됐지만 이에 맞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자들이 연합체로 대항하려는 움직임이어서 앞으로 남은 주별 소송전은 불꽃 접전이 예상된다.

노스다코타주 상원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앱마켓 반독점 규제를 담은 '2333 법안'을 찬성 11명에 반대 36명으로 부결시켰다. 지난달 발의된 '2333 법안'은 '연간 매출액이 1000만달러(약 110억원)가 넘는 디지털 앱배포 플랫폼 사업자는 앱개발자에게 자신의 플랫폼에서만 앱을 배포하고 결제(인앱)하도록 강요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사실상 구글과 애플을 겨냥한 법안이다.

이 때문에 구글과 애플은 이 법안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철벽방어에 나섰다. 지난 9일 노스다코타주 주의회에 출석한 애플의 에리크 노이엔슈반더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는 "앱스토어에서 나쁜 앱을 퇴출하고자 노력하는데 법안이 통과되면 나쁜 앱이 들어오도록 허용할 수 있다"면서 "정부가 질과 안전성, 신빙성이 떨어지는 물건을 선반에 쌓아두라고 강요하는 것과 같은 법안"이라고 주장했다. 법안이 부결되어야 하는 이유로 개인정보보호와 앱관리를 내세웠던 것이다. 노스다코타주 의회는 결국 '2333 법안'을 부결했으니, 애플의 논리는 먹힌 셈이다.

그러자 이 상황을 지켜보고 있던 모바일앱 개발자들은 애플과 구글에 다시한번 선전포고를 하며 싸움이 끝나지 않았음을 드러냈다. 팀스 위니 에픽게임스 대표는 16일 자신의 소셜서비스(SNS)에 "앱스토어 독점에 맞서기 위한 노스다코타주의 노력은 소비자와 개발자들에게 매우 훌륭한 일"이라며 "앱공정성연합(CAF)은 입법 추진을 위해 홍보와 로비를 하고 개발자들을 조직했고, 에픽도 그 일원이 될 수 있어서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애플과 구글에 맞서기 위한 법 제정을 '앱공정성연합'(CAF)이 주도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앱공정성연합'은 에픽게임즈가 주도해서 결성됐지만 현재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업체인 스포티파이, 데이팅앱 '틴더'의 운영사 매치그룹 등이 참여하고 있다. 에픽게임즈는 인기 슈팅게임 '포트나이트' 개발사다. 이 회사가 애플과 구글의 반독점 규제에 앞장서게 된 이유는 지난해 자체 결제시스템을 도입했다가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삭제조치를 당한 때문이다. 이에 에픽게임즈는 즉각 소송을 제기하는데 이어, 앱공정성연합을 결성했던 것이다. 이 연합에 참여하고 있는 소포티파이도 EU경쟁위원회에 애플의 수수료 정책이 과다하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대부분의 모바일앱 개발사들은 구글과 애플의 수수료 정책이 불공정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인앱 결제' 방식으로 수수료 30%를 강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플랫폼 안에서만 결제하도록 강요하는 것도 모자라 수수료 30%를 요구하는 것은 불공정 경쟁으로 소비자와 앱개발자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애플은 앱스토어 운용초기부터 인앱 결제를 의무화하고 30% 수수료를 떼고 있다. 게임앱에만 30% 수수료를 뗐던 구글도 올 10월부터 모든 앱에 30% 수수료를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두 회사가 벌이들인 수익은 지난해 330억달러(약 36조5000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미국 앱분석업체 '센서타워'는 추정했다. CNBC에 따르면 2019년 애플의 앱스토어 수수료 수익은 150억달러(약 16조6000원)에 달했다. 구글과 애플 입장에서는 이처럼 막대한 수익을 가져다주는 수수료를 절대 포기할 수 없다. 이에 따라 '2333 법안' 통과를 기를 쓰고 막아야 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점차 세력화되고 있는 모바일앱 개발자 진영도 이에 결사항전의 기세로 맞설 조짐이다. 이에 IT공룡들과 모바일앱 개발사들의 1차전은 IT공룡들의 승리로 끝났지만, 이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재 조지아·애리조나·매사추세츠·미네소타·위스콘신 등에서도 노스다코타주와 비슷한 법안이 추진중이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법안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구글과 애플을 상대로 한 전쟁은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CAF도 성명을 통해 "CAF는 앱스토어의 변화를 확인하고 싶다"며 앞으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산업은행 녹색채권 25% '전기차 구매지원'...기후테크 투자는 '쥐꼬리'

산업은행 녹색채권 자금이 전기자동차 보급에 치우쳐 있고, 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

삼성중공업, 11.5만톤급 수소연료전지 추진 선박 만든다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선급(BV)으로부터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의 기본설계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암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LG U+, 표준협회 콜센터품질지수 통신업종 2개 부문 1위

LG유플러스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5년 콜센터품질지수(KS-CQI) 조사'에서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IPTV 2개 부문에서 최우수기업으로

셀트리온, 美 일라이 릴리 공장 인수..."인수와 증설에 1.4조원 투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소재한 약 4600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신품종 '그린로즈' 개발

CJ제일제당이 국내 최초로 여름철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배추는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있는 대

기후/환경

+

친환경인줄 알았더니…야자매트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

등산로·둘레길에 깔린 야자매트에 플라스틱 섬유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광주환경운동연합은 광주지역 7곳에 설치된 야자매트를 조사한 결과

230㎞ 강풍과 폭우로 '초토화'...태풍 '라가사' 대만 휩쓸고 중국行

올해 발생한 태풍 가운데 가장 강력한 제18호 태풍 '라가사'가 필리핀 북부와 대만을 강타하며 엄청난 피해를 낳고 있다. 라가사는 계속 북서진하고 있

산업은행 녹색채권 25% '전기차 구매지원'...기후테크 투자는 '쥐꼬리'

산업은행 녹색채권 자금이 전기자동차 보급에 치우쳐 있고, 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

정부 "2035 재생에너지 37% 늘려 전력부문 탄소감축 높이겠다"

정부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최대 37%까지 늘려서 전력생산 부문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68~79%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비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날씨] 가을 알리는 '요란한 비'...24일 시간당 20∼30㎜ 폭우

오는 23일 밤부터 남해안에 비가 내리기 시작해 24~25일 많은 비가 오겠다. 이 비가 그치면 가을이 성큼 다가온다.23일 오전 제주에서 내리기 시작한 비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