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추악한 오점"...'램지어 망언'에 세계 유력 언론까지 나섰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6 19:07:47
  • -
  • +
  • 인쇄
▲8일 가디언이 보도한 램지어 논문 관련 기사 (출처=가디언)

지난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국제적인 영향력을 지닌 영·미권 매체들이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존 마크 램지어 교수의 '위안부' 역사 왜곡 정황을 앞다퉈 보도하면서 국제사회가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하고 있다.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은 8일 "하버드 교수가 일본의 '위안부' 관련 주장으로 격노를 유발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위안부'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램지어 교수의 주장으로 촉발된 사태의 경과를 보도했다.

가디언은 램지어의 논문을 둘러싼 학계의 우려를 소개하고, '위안부' 문제를 "지독한 인권침해"로 규정한 미 국무부의 반응을 담았다. 또한 1990년대 '위안부' 할머니들이 처음 피해 사실을 공표한 이후부터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이르기까지 '위안부' 문제가 한·일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역시 함께 다뤘다.

마찬가지로 영국의 일간지인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 역시 비슷한 논조의 보도를 이어갔다. 인디펜던트는 램지어의 논문이 "세계적인 소동"을 일으켰다며, '위안부'가 "성노예"였다는 표현을 적시했다. 또 '위안부' 문제가 남한과 북한 할 것 없이 한민족 공통으로 해당되는 문제라며 램지어를 "추악한 돈벌레", "사이비 학자"로 맹비난한 북한의 반응도 다뤘다.

영국의 최대 대중지 '데일리메일'(The Daily Mail)은 램지어를 '미쓰비시 일본 법학교수'라고 지칭하며 사태를 전했다. 이에 더해 '위안부'라는 용어가 "매춘부를 지칭하는 일본어의 완곡어구에 대한 엉성한 번역"이라는 하버드 크림슨의 내용도 넣었다. 이외에도 이용수 할머니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위안부' 피해자들의 사진을 내걸었다.

미국에서는 세계 최대 통신사 AP통신이 "램지어 교수의 논문은 한국과 일본간 정치적 논란을 심화했다"라면서 한국은 일본에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 지도자들은 위안부의 강제성을 부인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엔은 1996년 보고서에서 위안부가 '폭력적이고 노골적인 강압'으로 끌려간 성노예라고 결론내렸다"라고 설명하면서 "일본은 1993년 담화에서 위안부들이 의지에 반해 끌려갔다고 인정했으나 이후 일본의 지도자들은 이를 부인했다"라고 꼬집었다.

같은날 폭스뉴스는 사설란에 미셸 박 스틸(한국명 박은주) 한국계 미 연방하원의원의 기고문을 실었다. 스틸 의원은 세계 여성의날을 맞아 쓴 기고문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을 통해 램지어 논문을 반박했다. 또 "일본군의 위안부 여성 집단노예화는 일본 역사에서 추악한 오점"이라며 "의회의 동료들과 진실을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램지어 논문을 규탄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