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음식 9.3억톤...세계 식량 17% '음식물 쓰레기' 됐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6 18:54:05
  • -
  • +
  • 인쇄
40톤 트럭으로 지구 7바퀴 도는 길이

지난 2019년 전 세계적으로 약 9억3100만톤의 음식이 버려진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 말해 인구 1명당 121kg의 음식을 버린 것이다. 이는 생산된 전체 식량의 17%에 해당한다.

유엔환경계획(UN Enviroment Programme, UNEP)은 최근 발표한 '음식물 쓰레기 지수 보고서 2021'을 통해 이와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아직까지도 많은 국가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정량화하지 않아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실제 규모와 영향은 정확하지 못하다"며 더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실제로 54개 국가 보고서 조사에 참여했고 그 인구는 세계 인구의 75%에 불과하다. 그중 23개국만이 식품 서비스 또는 소매 부분에 대한 음식물 쓰레기 추정치를 제공했다.

버려진 9억3100만톤의 음식물 쓰레기는 40톤짜리 트럭 2300만대를 채울 수 있는 양이며 그 길이만 해도 지구를 7바퀴 돌기에 충분하다.


◇ 가정에서 60% 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

보고서에 따르면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 중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버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4개국의 음식물 쓰레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74kg(61%), 레스토랑과 같은 식품 서비스 장소에서 32kg(26%), 슈퍼마켓과 같은 소매점에서는 15kg(13%)이 버려졌다.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먹을 것이 많은 부유한 국가의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국가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심각한 문제였다. UNEP의 책임자이자 이번 보고서의 기고자인 마티나 오토(Martina Otto)는 "우리는 음식물 쓰레기가 주로 부유한 국가들의 문제라고 생각했다"며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고 전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2019년 기준 매일 배고픔에 힘들어하는 기아의 수는 6억9000명에 달하며 이 수치는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누구는 음식을 먹지 못해 죽어가지만 누구는 해마다 120kg가 넘는 음식을 버리고 있던 것이다.

UNEP와 영국에 기반을 둔 환경 자선 단체인 WRAP가 올해 발표한 '식품 폐기물 지수 보고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면 이러한 기아 문제가 모두 완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온실가스 배출의 숨겨진 주범 '음식물 쓰레기'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각 나라에서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탄소중립 운동을 활발히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우리가 매일 먹고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있었다.

탄소중립이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보고서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10%가 버려지는 음식물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만약 음식물 쓰레기가 국가라면 지구상에서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큰 온실가스 배출원이 되는 것이다.

마티나 오토는 "사실상 식량을 버리는 것은 생산에 들어가는 자원을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며 "음식물 쓰레기가 매립지에 버려지면 사람에게 먹이를 주지는 않지만 기후 변화에 먹이를 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음식물 쓰레기는 국가 기후 전략에서 크게 간과되었다"며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으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업사이클 참여기업 모집...최대 1000만원 지원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2025년 경기도 업사이클 기업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공모는 △집중육성 과제(최대

올해 신규 사외이사 평균연령 60.3세...女비중 첫 30% 돌파

올해 국내 100대 상장기업에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교수 출신이고, 평균연령은 60.3세로 나타났다. 사외이사 재선임 비중은 54%로 높아지

아워홈 사고직원 결국 사망...중대재해법 처벌수위 촉각

경기도 용인에 있는 아워홈 공장에서 사고를 당한 직원이 9일 끝내 사망했다. 구미현 아워홈 대표이사는 이날 입장문에서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

LG '올레드TV' 탄소·플라스틱 줄이고 자원효율 높였다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했다.LG전자는 최근 프리미

국내 中企 ESG 경영수준 2년새 대폭 '개선'...비결은?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ESG 성적이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등 환경분야를 중심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중소&m

SK C&C, AI DX로 사고 줄이고 환경오염 막는다

SK C&C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안전·보건·환경(SHE) 서비스를 통해 제조현장 안전수준을 한층 강

기후/환경

+

기후파괴 앞장선 美...산업시설 탄소배출량 의무보고 폐지

"기후위기는 가짜"라며 반(反)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산업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의무를 폐지했다. 중국 다음으로

산불지역 '산사태' 위험성 2시간전 파악하는 예측기술 개발

산불지역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여부를 2시간 30분 이전에 파악할 수 있는 예측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10일 한국지질자원연구

기후솔루션 "NDC 수립시 지방정부도 참여시켜야"

우리나라가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방정부 참여가 사실상 배제돼 있어 기후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10일

'차기 정부가 해야 할 기후정책 30가지'...기후싱크탱크 제안서 발간

차기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생태국가 원리를 헌법에 반영하고, 기후시민의회 제도화를 통한 민주적 기후거버넌스를 구현하는 것과 아울러 기후경

'대기의 강' 2023년 튀르키예 지진 피해 키웠다

엄청난 양의 비를 몰고 오는 '대기의 강' 현상이 재작년 발생한 튀르키예 지진의 피해를 키운 것으로 밝혀졌다.8일(현지시간) 톨가 괴륌(Tolga Görü

美주택보험료 8% 이상 오른다...잦은 재난과 관세 여파

미국 전역에서 극단적인 기후재난이 잇따라 발생하는 데다, 올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올린 관세폭탄으로 경제 불안이 가중되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