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도시의 93%가 홍수, 폭염, 물부족, 기반시설 훼손 등 기후변화로 인한 심각한 위협을 받는 가운데 4개 도시 중 하나꼴로 기후변화 대응자금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비영리단체 '카본 디스클로저 프로젝트'(CDP)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812개 도시 가운데 43%는 현재 실행중인 기후변화적응대책이 전무했다. 이들 도시에 속한 인구는 4억명이다.
기후대책을 수립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자금부족' 때문이다. CDP가 조사한 도시들 가운데 25%가 기후대책을 수립할 자금이 없다. 대부분의 도시들은 기후변화로부터 기반시설과 취약계층을 지키기 위한 자금을 중앙정부에 의존하고 있었다.
CDP는 2020년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422개 도시가 마련한 1142개 계획이 재원을 조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들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은 720억달러(약 80조원)이다. 수질관리 계획만 따지더라도 226억달러(약 25조원)가 필요했다.
CDP 총괄책임자 키라 애플비는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일에 투자하는 것은 막대한 편익을 가져오지만 재무제표에 명시되진 않는다"면서 "코로나19 복구비용 중 극히 일부만 기후변화 대응비용으로 책정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코로나19 봉쇄조치로 제기능을 잃거나 버려지는 도시가 많아졌다. 애플비는 "코로나19 이후 많은 사람들이 '도시복원력'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각국 중앙정부가 도시들의 장기적인 복원력을 위해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
도시복원력은 홍수와 가뭄 등 기상이변에 대비한 설계나 공원 및 녹지 조성 그리고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와 안전교육 등의 요소를 통해 도시가 재해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도시복원력은 급변하는 기후에 적응하고 시민들의 육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CDP는 중앙정부뿐 아니라 기업들이 지원기금의 주요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봤다. CDP가 조사한 도시들 가운데 4분의 3이 기업과 함께 지속가능성 관련 현안에 대해 계획을 마련하고 있고, 2년 내 실행에 옮길 예정이다.
도시복원력 모범사례로는 영국 브리스톨,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그리스 아테네 등이 뽑혔다. 대표적으로 브리스톨은 17km 길이의 홍수 방어시설을 건설중이다. LA는 지진에 대비해 1994년 이전 지어진 철골 구조물을 보강하고 있다. 아테네는 거리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도시 내 건물 지붕 위에 녹지를 조성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