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에 '번식색' 잃는 수컷 잠자리들..."짝짓기 교란될 수도"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7-06 11:49:14
  • -
  • +
  • 인쇄
美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연구팀 조사결과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수컷 잠자리가 짝짓기 대상을 유혹하는데 쓰이는 날개의 반점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학교의 마이클 무어 박사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더운 기후에 서식하는 수컷 잠자리들이 번식색을 잃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컷 잠자리 날개에 있는 검은 반점들은 암컷 잠자리를 유혹하고 경쟁자에게 위압감을 주는 기능이 있다.

이번 연구는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잠자리 319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서식지 온도가 낮을수록 반점 크기가 더 어둡고 정교한 모양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팀은 서식 범위가 넓은 10종을 대상으로 더 정밀한 조사를 진행했다. 또 평년보다 온도가 높았던 해의 잠자리 날개 반점 사진과 평년보다 온도가 낮았던 해의 잠자리 반점 사진을 비교했다. 그 결과, 같은 종인데도 더 따뜻한 기후에 서식하는 잠자리들의 번식색이 더 옅었다.

잠자리 날개의 검은색 반점은 열을 흡수해 잠자리 체온을 최대 2℃까지 높일 수 있다. 체온이 오르면 날개 조직이 손상되고, 짝짓기 경쟁자와 싸우거나 먹이를 사냥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자칫하면 과열로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문제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수컷 잠자리들이 상승하는 온도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반점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자들은 이 현상이 지속될 경우 암컷 잠자리들이 더는 같은 종의 수컷 잠자리들을 알아보지 못해 번식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수컷과 암컷 양쪽에서 같은 현상을 보이고 있지는 않았다. 마이클 무어 박사는 "수컷과 달리 암컷 잠자리들은 날개 무늬가 변하지 않았다"며 "성별 상관없이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모습이 똑같을 것이라는 가정은 금물"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앞으로 잠자리의 짝짓기 방식이 어떻게 바뀔지 모른다"며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이 연구논문은 5일(현지시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

매년 3.2%씩 사라진 아마존...강수량도 5.4% 줄었다

아마존 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강수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유 리우(Yu Liu) 중국 난징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4년동안 산

"5월이 아까시꿀 제철인데"...양봉농가 잇단 폭우에 '시름'

"꿀이 막 올라오려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면서 꿀벌들이 꿀을 모을 시기를 놓치고 있다."최근 여름철을 방불케하는 장대비가 쏟아지면서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