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부 산불연기 뉴욕까지...검은연기에 유해물질 범벅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7-22 17:33:48
  • -
  • +
  • 인쇄
240km 밖에서도 납·아연 등 중금속 검출

산불이 인공구조물을 태우면서 발생하는 금속유해물질이 인체에 심각한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

캘리포니아대기자원위원회(CARB)가 지난 2018년 85명이 숨진 야영지 화재를 비롯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산불 발생 당시 공기질을 조사한 결과 납과 아연 등 유해 중금속 농도가 크게 증가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가 보도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미국 서부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부터 치솟은 연기가 미국 전역의 하늘을 검게 물들이면서 뉴욕시까지 퍼지는 기현상이 발생하자 위기의식을 느낀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됐다.

연구자들은 2018년 사례를 놓고 봤을 때 화재가 발생한 야영지 인근에 자리한 도시 치코(Chico)의 대기중 납 농도가 50배 이상 증가했고, 150마일(약 240km) 떨어진 도시 모데스토(Modesto)에서도 아연 농도가 급증했음을 확인했다. 이때 발생한 연기에서는 망간과 같은 중금속도 함께 검출됐다.

조사에 따르면 난연제와 플라스틱 등 건축물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산불에 타면서 특별히 더 유독한 기체를 뿜어내는 것으로 봤다. 특히 납에 노출되는 경우 고혈압, 생식기능 장애, 성인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영유아의 경우 주의력 결핍과 행동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관련 연구를 수차례 진행했던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매리 프루니키 박사는 "(연기로부터) 아무도 보호받을 수 없다"며 "정확히 어떤 물질에 노출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ARB의 운영책임자 리처드 코레이는 "이번 연구결과로 건강에 실질적인 위협을 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캘리포니아주 주변에 거주하거나 근무하는 사람들 뿐 아니라 캘리포니아 외부 사람들 역시 연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