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번한 홍수 원인 AI 이용해 풀었다

나명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08-12 18:33:39
  • -
  • +
  • 인쇄
美스탠포드대 연구진, 미시시피 홍수분석
이상기후 분석에 AI 기술 적용된 첫 사례


가뭄으로 호수가 마르는 캘리포니아에서 홍수로 다리가 무너지는 중국까지 지구촌 곳곳에서 이상기후가 갈수록 심해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의 머신러닝 기능을 이용해 이상강우를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돼 주목을 끌고 있다.

미국 스탠포드대학교의 프란시스 데벤포트(Frances Davenport)와 노아 디펜바우(Noah Diffenbaugh) 교수연구팀은 최근 수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미국 중서부 지역에서 AI 분석툴을 이용해 이상강우의 원인을 분석했다고 과학전문매체 사이언스데일리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상기후의 원인을 분석하는데 AI 기술이 적용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들은 이 기술을 이상강우 외에 다른 기후재난의 원인을 분석하는데도 활용할 예정이다. 원인을 분석하면 앞으로 닥쳐올 기후재난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주요저자 프란시스 데벤포트(Frances Davenport) 박사는 "홍수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우리의 목표는 이상 강수량이 왜 빈번해지고 있는지 파악해 홍수상황을 예측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구온난화는 수분을 많이 머금을 수 있는 더운 대기를 형성해 더 많은 비와 눈이 내리게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역에서 어떤 이상기후가 발생할 수 있을지 파악할만한 공간 해상도가 없어 원인을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AI 분석툴을 이용했다. 우선 연구대상으로 미시시피 상류의 분수령과 미주리 동부 분수령에 주목했다. 9개 주에 걸쳐 있는 이곳은 강수량이 아주 많아 물에 잠기기 쉬운 지역이다. 실제로 이곳에는 최근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연구원들은 해당 지역에서 1981년~2019년까지 공공기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상강우 횟수를 계산했다. 이상강우에 영향을 주는 대기순환 패턴을 관측하기 위해서 AI에게 이미지 등 그리드 데이터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학습시켰다. 그 결과 AI 알고리즘은 이상강우를 90% 이상 예측하는데 성공했다.

AI는 최근 다양한 요소들이 중서부의 이상 강수량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1980년대에 비해 21세기들어 해당 지역의 대기압력 패턴이 1년 중 하루꼴로 잦아졌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같은 대기압력 패턴이 발생하면 강수량이 확실히 많아졌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원들은 이상강수가 멕시코만부터 중서부 지역까지 폭우를 유발하는 습도의 흐름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데벤포트 교수는 "이는 기존에 검사하던 통계학적 방식보다 훨씬 정확한 수치"라고 했다. 공동저자 노아 디펜바우 교수는 "AI를 활용한 시도는 이상기후 원인을 이해하는 데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있다"며 "이를 통해 앞으로 심각한 재난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리프 세이프’ 선크림...정말 안전할까?

자외선차단제(선크림) 성분이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산호초에 무해하다는 'Reef Safe'(산호초 안전) 마크를 붙인 제품

매년 3.2%씩 사라진 아마존...강수량도 5.4% 줄었다

아마존 산림면적이 감소하면서 강수량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유 리우(Yu Liu) 중국 난징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4년동안 산

"5월이 아까시꿀 제철인데"...양봉농가 잇단 폭우에 '시름'

"꿀이 막 올라오려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면서 꿀벌들이 꿀을 모을 시기를 놓치고 있다."최근 여름철을 방불케하는 장대비가 쏟아지면서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