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캘리포니아, 인구밀집지역 반경 1km이내 석유시추 금지법 추진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0-26 11:59:10
  • -
  • +
  • 인쇄
500만명 이상이 석유가스 시추장 1마일내 거주
조산과 천식, 호흡기 질환 등 질병 위험에 노출


최근 대규모 기름유출 사고로 몸살을 앓고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인구 밀집지역에서 반경 약 1km(3200피트) 이내에 석유와 가스 시추시설 신설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지질에너지관리부(CalGEM)에서 마련한 이 법안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전역에서 주택과 학교, 병원 등 인구가 밀집된 지역으로부터 반경 10km 이내를 '완충지대'로 설정해 새로운 유정(oil wells)과 가스정(gas wells)을 개발하지 못한다. 다만 기존에 가동되는 유정은 금지되지 않는다.

현재 미국 내에서 인구 밀집지역에서 반경 1km까지 유정을 개발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제는 없기 때문에 미국 전역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규제조치인 셈이다. 이에 대해 캐시 시겔 생물다양성기후법안연구소 소장은 "미국에서 가장 큰 완충지대는 건강보호를 위해 수년간 싸워온 최전방 지역사회의 승리"라고 밝혔다.

캘리포니아는 미국에서 7번째로 큰 산유국이지만 활동중인 유정이 지역사회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하는 거리에 관한 규칙이나 기준이 현재는 없다. 비영리단체 프랙트래커 얼라이언스의 분석에 의하면, 현재 운영중인 유정 및 가스정에서 약 0.76km(2500피트) 이내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이 200만명에 달하고 있고, 캘리포니아 인구의 14%에 해당하는 500만명이 약 1.6km(1마일) 이내에 거주하고 있다.

석유와 가스 시추장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조산, 천식, 호흡기 질환, 암에 걸릴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석유 시추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와 컨 카운티와 같은 주요 유전 인근에 거주하는 흑인과 라틴계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성명을 통해 "화석연료 의존은 더 많은 아이들이 천식에 걸리게 하고, 선천적인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게 하며, 더 많은 지역사회를 유독하고 위험한 화학물질에 노출시켰다"며 "캘리포니아는 석유 시추장으로부터 반 마일 이내에 살고 있는 저소득층과 유색인종 사회의 주민 200만명 이상을 보호할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법안마련의 취지를 설명했다.

해당 법안은 그동안 환경단체들이 꾸준히 주장했던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려면 적지않은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미국서부석유협회와 국가건설무역위원회를 앞세워 완충지대가 연료비용을 높이고 노동자들에게 피해를 입힐 것이라고 줄기차게 주장해왔던 캘리포니아주 석유가스업체들은 이 법안에 대해 반발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과거 수압 파쇄법(석유 및 셰일가스 시추기술)을 금지하고 완충지대를 설치하는 법안도 발의됐지만 올해 주 위원회 투표에서 기각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 법안도 석유업계 반발을 뚫고 통과될 수 있을지 미지수이고, 설사 법안이 통과되더라도 발효되기까지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자연복원 참여기업 ESG실적 인정...첫 민관협력 사업 진행

기업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자연환경 복원사업에 참여하면 ESG 경영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시범사업이 민관협력으로 진행된다.환경부는 민간기업인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기후/환경

+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