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량 좌우하는 꿀벌...살충제 한번이라도 노출되면 개체수 급감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1-25 12:54:13
  • -
  • +
  • 인쇄
2년 연속 살충제 노출된 꿀벌, 개체수 71% 감소
▲파란색 몸체에 단독생활을 하는 푸른과수원 벌(blue orchard bees) (사진=rawpixel)


단 한번이라도 살충제에 노출된 꿀벌은 이를 회복하는데 여러 세대가 걸리기 때문에 개체수가 급감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꿀벌은 생후 1년차에 살충제에 단 한번이라도 노출되면 번식에 영향을 받고, 살충제 영향이 누적돼 벌 개체수가 전반적으로 줄어든다. 이런 영향은 '이월 효과(the carryover effect)'라고 알려져 있다.

살충제가 세대를 거쳐 미치는 환경 피해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2년에 걸쳐 현장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일반 꿀벌과 달리 파란색 몸체에 단독생활을 하는 야생수분 매개종 푸른과수원 벌(blue orchard bees)들이 어떻게 살충제에 노출되고 반응하는지 분석했다.

사용된 살충제는 꿀벌에게 매우 유독한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이미다클로프리드는 생물체 전체에 퍼지는 침투성 살충제로, 벌의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방면으로 벌의 행동과 생리학을 저해할 수 있다. 연구진은 모든 경우의 수를 알아보기 위해 △유충일때 살충제 한번 노출 △성충일때 살충제 한번 노출 △유충과 성충에게 2년동안 살충제를 총 2회 노출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유충일 때 이미다클로프리드에 노출된 꿀벌은 그렇지 않은 개체에 비해 번식률이 20% 감소했다. 성충일 때 한번 노출된 개체는 번식률이 30% 감소했으며, 두해에 걸쳐 노출된 꿀벌은 그 영향이 누적돼 번식률이 44% 감소했다. 벌집 형성 확률 및 비율, 암수 비율도 고려했을 때, 전체 집단이 2년 연속 살충제에 노출되면 개체수 증감율이 무려 71%까지 떨어졌다.

캘리포니아대학 생태학 박사과정 후보이자 이번 연구의 주요저자인 클라라 스툴리그로스는 "살충제는 꿀벌 번식을 감소시키며 과거 또는 이전 세대에서의 노출이 이듬해 성체의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었다.

살충제가 생물다양성 환경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은 이미 기존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지만, 장기적으로 살충제가 곤충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게다가 농업지를 중심으로 여전히 살충제 사용이 많은 실정이다. 오리건 주립대학 국립농약정보센터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이미다클로프리드가 포함된 제품이 400개 이상 판매되고 있다. 비슷하게 꿀벌에게 매우 유독한 살충제인 네오니코티노이드의 경우, 유럽연합(EU)에서 사용금지됐지만 여전히 생산이 가능해 매년 대량으로 수출되고 있다.

스툴리그로스는 "특히 농업지역에서 살충제가 1년에 여러 번, 여러 해에 걸쳐 자주 사용된다"며 "이는 꿀벌 개체수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라르스 치트카 퀸메리대학 생태학교수는 "그 효과는 누적되고, 몇 년간 살충제를 쓰면 꿀벌 개체수가 심각하게 줄어들 수 있다는 사실은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며 "이 연구는 2022년 살충제 사용이 금지되더라도, 2021년 사용한 살충제의 부작용이 여전히 나타날 것임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올해 성장해 내년 작물을 수분시킬 준비를 하는 유충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을 받고 있다"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 모집

환경부가 ESG 전문인력 교육과정 참가자를 모집한다.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KB국민은행, 2만3000여명 소상공인 금융지원 '100억' 돌파

KB국민은행이 비대면 대출받은 소상공인에게 보증료 및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KB소상공인 응원 프로젝트'의 지원금액이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19일

기후/환경

+

[새 정부에 바란다] "청년은 기후위기 피해자...의견 반영해야"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