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미세플라스틱 해법찾기 '골머리'...세탁기 필터부터 다시마 직물까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2-31 15:46:13
  • -
  • +
  • 인쇄
합성옷을 입을 때나 세탁할때 미세플라스틱 '풀풀'
필터장착 세탁기 출시부터 생분해성 직물개발 분주


의류의 약 60%는 합성섬유다보니, 우리가 옷을 입고 있을 때나 세탁할 때 무수히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배출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직경 5mm 이하의 미세한 플라스틱 조각이므로, 웬만해서는 걸러내기 쉽지 않다.

그러나 옷 1벌을 세탁할 때마다 70만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되는 것을 마냥 두고 볼 수는 없는 일이다. 이에 프랑스는 2025년부터 세탁기에 미세플라스틱 필터 장착을 의무화시켰고, 여기에 자극받은 영국도 하원의원들을 중심으로 2025년부터 세탁기 미세플라스틱 섬유필터 장착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와 미국 캘리포니아주도 비슷한 규정을 검토하고 있다.

이미 유럽에서는 세탁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낼 수 있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나와있다. 물론 제품별 성능은 천차만별이다.

영국 플리머스대학이 시판중인 미세플라스틱 필터 6개 제품의 성능을 평가했더니, 'X필트라'(Xfiltra)라는 제품은 배수구로 유출되는 미세섬유를 78%까지 걸러냈다. 반면 '린트 LUV-R'과 '플래닛 케어필터' 시스템은 각각 25%와 29%의 미세플라스틱만 걸러냈다. 드럼세탁기 전용인 '거피프렌드'(Guppyfriend) 세탁백은 미세플라스틱을 54% 걸러냈고, '포스 엘리먼트'(Fourth Element)의 세탁백은 21%만 걸러냈다. '코라(Cora) 볼'의 경우 1개당 섬유를 31% 걸러냈다.

미세플라스틱을 걸러주는 세탁기도 출시됐다. 

독일에서는 세계 최초로 세탁과정에서 배출되는 합성섬유 미세플라스틱을 90%까지 걸러주는 필터가 장착된 세탁기가 선보였다. 독일 가전업체 그룬딕(Grundig)이 개발한 이 세탁기에 장착된 필터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고, 최대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일회용 섬유필터도 있다. 영국기업 매터가 개발한 필터 '걸프'(Gulp)는 기존 세탁기에 장착할 수 있는데 유출 파이프와 배수관 사이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걸러준다.

미세플라스틱은 에베레스트산 정상부터 깊은 바닷속에서도 발견될만큼 확산 정도가 심각하다. 미세플라스틱은 호흡을 하거나 물을 마실 때 몸속으로 유입되며, 최근 실험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세포도 손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필터만으로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나온다. 리처드 톰슨 플리머스대학 교수는 "모든 미세플라스틱 배출량의 약 50%는 옷을 입고 있는동안 발생한다"며, 미세플라스틱이 배출되지 않는 섬유로 옷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일부 기업들은 생분해성 원료로 직물을 개발하고 있다. 알지크닛(AlgiKnit)은 다시마로 생분해성 실을 만들고 있고, 오렌지파이버(OrangeFiber)는 오렌지 주스를 생산하고 남은 부산물로 직물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스퀴텍스(Squitex)는 오징어 촉수에서 발견된 단백질을 이용해 직물을 만들고 있다. 스퀴텍스는 "이 단백질은 자가 치유력이 세계에서 가장 빨라서 직물이나 코팅용 섬유로 만들면 미세섬유 배출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외 나노룸(Nanoloom)은 그래핀을 사용해 벗겨지지 않는 직물을 개발하고 있다.

면화는 천연소재이므로 생분해가 되지만, 생산과정에서 물과 살충제가 남용된다. 전세계 면화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베터코튼 이니셔티브는 2030년까지 면화 1톤당 탄소 배출량을 2017년 대비 50% 감축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2022년 말까지 농약사용, 토양건강, 소작농 생계, 여성의 권한 등을 포괄하는 추가 목표가 나올 전망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산불 발생한 강 유역 오염도 103배...오염 8년간 지속된다

폭염으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산불이 발생한 지역은 산불 재로 인해 수자원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8일(현지시

벌써 전력사용량 '피크' 찍었다...길어지는 폭염 '블랙아웃' 걱정없나?

한낮 최고기온이 40℃를 육박하는 때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가 연일 새로운 기록으로 갈아치우자, 기온이 가장 치솟는 '7말8초' 시기에 전력소비를

도로 잠기고 차 끊기고...퇴근길 '기습폭우' 또 내린다고?

올들어 가장 높은 37.8℃까지 치솟았던 8일 서울은 퇴근길 '기습폭우'에 도로가 물에 잠기는 등 일대 혼란이 발생했다. 이날 기습폭우의 원인으로 '폭염'

인력도 예산도 깎더니...美 텍사스 대홍수 참사에 트럼프 '뭇매'

미국 텍사스 중부를 덮친 기록적 폭우로 111명이 숨지고 160명이 실종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재난 초기 대응과 기상예보 체계 붕괴에 대한 비판이 들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