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 대형화되는 이유...과연 기후변화와 관련없을까?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0 11:29:31
  • -
  • +
  • 인쇄
온도상승으로 북반구 봄비 갈수록 뜸해져
2021년 겨울강수량 예년의 14.7%에 그쳐
▲경북 울진군 신림리 지역 산불현장 (사진=연합뉴스)


동해안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이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어 역대급 피해를 낳을 것으로 보인다.

산림당국이 산불 진화에 애를 먹고 있는 것은 땅속과 나무 사이에 숨어있는 불씨가 다시 되살아나면서 진화율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삼척의 경우는 피해 면적은 650헥타르(㏊)에서 1253㏊로 늘어나면서 진화율이 80%에서 다시 65%로 줄었다.

주불진화가 완료된 강릉과 동해, 영월 등은 현재 잔불정리를 하고 있지만 완전 진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현재까지 강릉·동해의 피해면적은 4000㏊에 달하고, 삼척은 650㏊, 영월 80㏊에 이른다.

울진은 금강소나무 숲이 조성된 소광리 부근의 진화가 마무리되면서 한숨 돌린 상황이지만 잔불까지 모두 끄는 완전진화가 안된 상태여서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 다행히 바람이 잦아져 당국은 진화 작업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일 최병암 산림청장은 울진군 죽변면 산불현장지휘본부에서 브리핑을 통해 "약한 서풍이 불면서 연무가 동쪽으로 이동해 시야 확보가 가능해졌다"면서 "금강송 군락지 불줄기를 조속히 정리하고 모든 자원을 동원해 산불 본진인 응봉산 일대를 집중 공략해 현재 75%인 진화율을 더 높이겠다"고 밝혔다.

10일 새벽까지 집계된 동해안 산불의 피해면적은 2만3000ha에 이른다. 이는 역대 최대 피해를 입혔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규모 2만3794ha에 거의 근접한 수준이다. 서울면적(6만500ha)의 3분의1 이상이 불타 버렸다. 문제는 아직도 진화율이 75%에 이르고 있어 이번 산불의 피해는 역대급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기상청은 이번 가뭄이 기후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극심한 가뭄이 산불피해를 키웠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바싹 마른 나무와 토양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피해지역을 더 키운 것이다. 실제로 2021년 겨울철 강수량은 예년의 평균 강수량 89.0㎜의 14.7%인 13.3㎜에 그쳤다. 이는 1973년 이후 최저 기록이다. 

겨울가뭄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유가 기후변화와 전혀 연관이 없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또 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북반구 지역의 봄철 강수 빈도가 줄어든다는 최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의 연구결과도 있다.

이 연구에서 북반구 지역은 봄철 강우 빈도가 줄면서 2100년까지 10년마다 봄이 1~2일 더 빨리 시작될 것으로 예측됐다. 비오거나 흐린날이 줄면 햇빛이 땅과 대기를 덥히면서 낮기온이 더 높아지고, 반대로 밤에는 열을 가둘 구름이 없어 기온이 더 빠르게 떨어져 일교차가 심해진다. 이런 일교차는 식물들로 하여금 봄이라고 생각하게 해 잎이 점점 더 일찍 돋아나게 만든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들어 발생한 산불은 245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발생한 건수의 2배에 육박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산불이 늘어나고 있다. 산불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늘려 지구온난화를 더욱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유럽연합(EU) 코페르니쿠스 대기 모니터링 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에서 발생한 산불로 17억600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또 야생동물의 서식지들이 파괴되면서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공기청정기 역할을 하는 산림면적이 줄면서 산성비와 대기오염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낳는다. 하늘로 치솟는 산불 연기는 오존층까지 파괴하고 있다.

유엔은 캘리포니아, 호주, 시베리아를 초토화시킨 산불이 2030년까지 14%, 2050년까지 30%, 21세기말까지 50%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담은 보고서를 최근 발간하기도 했다. 이 보고서는 "산불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환경, 야생동물, 인간의 건강, 사회시설을 파괴하고 있다"면서 "전세계 산불 추세가 크게 변화해 이전에는 산불에 영향을 받지 않던 지역에서도 산불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