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겨울강수량 예년의 14.7%에 그쳐
동해안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이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어 역대급 피해를 낳을 것으로 보인다.
산림당국이 산불 진화에 애를 먹고 있는 것은 땅속과 나무 사이에 숨어있는 불씨가 다시 되살아나면서 진화율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삼척의 경우는 피해 면적은 650헥타르(㏊)에서 1253㏊로 늘어나면서 진화율이 80%에서 다시 65%로 줄었다.
주불진화가 완료된 강릉과 동해, 영월 등은 현재 잔불정리를 하고 있지만 완전 진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현재까지 강릉·동해의 피해면적은 4000㏊에 달하고, 삼척은 650㏊, 영월 80㏊에 이른다.
울진은 금강소나무 숲이 조성된 소광리 부근의 진화가 마무리되면서 한숨 돌린 상황이지만 잔불까지 모두 끄는 완전진화가 안된 상태여서 아직 안심하긴 이르다. 다행히 바람이 잦아져 당국은 진화 작업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일 최병암 산림청장은 울진군 죽변면 산불현장지휘본부에서 브리핑을 통해 "약한 서풍이 불면서 연무가 동쪽으로 이동해 시야 확보가 가능해졌다"면서 "금강송 군락지 불줄기를 조속히 정리하고 모든 자원을 동원해 산불 본진인 응봉산 일대를 집중 공략해 현재 75%인 진화율을 더 높이겠다"고 밝혔다.
10일 새벽까지 집계된 동해안 산불의 피해면적은 2만3000ha에 이른다. 이는 역대 최대 피해를 입혔던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규모 2만3794ha에 거의 근접한 수준이다. 서울면적(6만500ha)의 3분의1 이상이 불타 버렸다. 문제는 아직도 진화율이 75%에 이르고 있어 이번 산불의 피해는 역대급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기상청은 이번 가뭄이 기후변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극심한 가뭄이 산불피해를 키웠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바싹 마른 나무와 토양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피해지역을 더 키운 것이다. 실제로 2021년 겨울철 강수량은 예년의 평균 강수량 89.0㎜의 14.7%인 13.3㎜에 그쳤다. 이는 1973년 이후 최저 기록이다.
겨울가뭄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유가 기후변화와 전혀 연관이 없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는 또 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북반구 지역의 봄철 강수 빈도가 줄어든다는 최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의 연구결과도 있다.
이 연구에서 북반구 지역은 봄철 강우 빈도가 줄면서 2100년까지 10년마다 봄이 1~2일 더 빨리 시작될 것으로 예측됐다. 비오거나 흐린날이 줄면 햇빛이 땅과 대기를 덥히면서 낮기온이 더 높아지고, 반대로 밤에는 열을 가둘 구름이 없어 기온이 더 빠르게 떨어져 일교차가 심해진다. 이런 일교차는 식물들로 하여금 봄이라고 생각하게 해 잎이 점점 더 일찍 돋아나게 만든다는 것이다.
실제로 올들어 발생한 산불은 245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발생한 건수의 2배에 육박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산불이 늘어나고 있다. 산불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늘려 지구온난화를 더욱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유럽연합(EU) 코페르니쿠스 대기 모니터링 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에서 발생한 산불로 17억6000만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또 야생동물의 서식지들이 파괴되면서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공기청정기 역할을 하는 산림면적이 줄면서 산성비와 대기오염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낳는다. 하늘로 치솟는 산불 연기는 오존층까지 파괴하고 있다.
유엔은 캘리포니아, 호주, 시베리아를 초토화시킨 산불이 2030년까지 14%, 2050년까지 30%, 21세기말까지 50%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담은 보고서를 최근 발간하기도 했다. 이 보고서는 "산불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환경, 야생동물, 인간의 건강, 사회시설을 파괴하고 있다"면서 "전세계 산불 추세가 크게 변화해 이전에는 산불에 영향을 받지 않던 지역에서도 산불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