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로 치솟는 산불연기...오존층 파괴한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3-02 14:39:12
  • -
  • +
  • 인쇄
과학자들 호주 산불에 대한 연구결과 발표


국내에서도 경남 합천과 고령, 경북 달성 등에서 연이어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산불 연기가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

케인 스톤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박사가 이끄는 공동연구단은 2019년~2020년 호주에서 발생한 산불로 오존층이 1% 손실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손실된 오존층 1%가 원상회복되려면 10년이 걸린다.

이번 연구는 기후위기로 인한 산불이 증가할수록 오존층의 회복이 더딜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진이 위성관측한 결과에 의하면, 하늘로 치솟은 산불의 연기 입자가 성층권에서 질소와 반응하며 화학적 이동을 일으켜 오존을 고갈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9년~2020년 발생한 호주의 산불은 남반구를 거의 뒤덮을 정도였다. 산불로 형성된 구름이 성층권 위로 몇 킬로미터씩 치솟았다.

케인 스톤 박사는 "2020년 3월~8월 사이에 오존층 손실이 발생했다"며 "시간이 지나 성층권에 머물던 연기 입자가 지구 표면에 다시 내려올 때에야 오존층 파괴가 멈춘다"고 밝혔다.

지구 대기 성층권의 일부인 오존층은 고농도의 오존 분자로 구성돼 있어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을 흡수한다. 오존은 산소가 태양광과 반응해 만들어지는데, 주로 열대지방의 대기에서 지속적으로 보충된다.

오존층은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고 있지만 클로로플루오르카본 즉 프레온가스 등의 물질로 인해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다. 프레온가스는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금지됐다.

이번 연구는 프레온가스 등 오존파괴 물질뿐 아니라, 기후위기로 인한 산불의 증가도 오존층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호주 울런공대학의 클레어 머피 대기화학센터 소장은 앞으로 산불이 더 강력해질수록 오존층 회복 속도가 더 느려질 것으로 내다봤다. 머피 박사는 "성층권은 압력이 매우 낮고 분자가 적어 화학작용이 매우 천천히 일어나는데, 거기에 입자가 유입되면 화학작용이 갑자기 훨씬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기후/환경

+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