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환경단체 "국제법 위반"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07-22 13:19:32
  • -
  • +
  • 인쇄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된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사진=연합뉴스)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할 것으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대해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국제사회가 합의한 방사선 방호 원칙에서의 정당성과 해양 보호를 위한 국제법을 준수하지 못한 결정"이라며 비판했다.

일본 현지 언론 및 그린피스에 따르면 NRA는 22일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 계획을 정식 인가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후 바닷물로 희석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의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춰 방류하기로 작년 4월 결정했다.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같은 해 12월 원자력규제위에 이 계획에 대한 심사를 신청했다.

NRA는 올해 5월 도쿄전력이 제출한 계획을 승인했고, 이후 국민 의견을 청취한 뒤 이날 "오염수 처리 기준을 음용 기준에 맞췄기에 유엔해양법협약의 포괄적 환경영향평가를 할 필요가 없어, 국제법에 저촉될 일이 없다"며 정식 인가 결정을 내렸다. 도쿄전력은 승인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관할 지자체의 동의를 얻어 오염수 방류를 위한 설비 공사에 본격 착수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는 "포괄적 환경영향평가는 국제법상 선택이 아닌 의무"라며 "이 평가를 통해 인접국과 주변 환경에 미칠 영향의 최대치를 분석하고 이를 인접국에 공유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린피스를 비롯한 일본 어업계와 호주, 뉴질랜드 등 18개국으로 이뤄진 '태평양 도서국 포럼'(PIF) 연구자들도 NRA에 반대 의견을 제출해왔다.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 방류는 폐로 과정이 길어짐에 따라 방류할 양과 기간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린피스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목표치를 위해선 오염수 1L당 254L의 해수가 필요하다. 정화에 사용된 해수는 모두 오염수가 되기 때문에 실제 방류할 양은 129만3000톤(2022년 3월말 기준)에서 향후 총 3억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NRA는 이날 회의에서 '오염수를 처리 기준에 맞춰 방류할 것이므로 법적으로 문제 될 것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그린피스는 "NRA가 처리 기준에 맞춘 오염수 속 방사성 핵종과 농도를 공개하지 않을 거란 방침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오염수 내 총 64개의 방사성 핵종 중 어떠한 물질이 얼만큼 바다로 흘러가는지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린피스는 "이대로 오염수가 방류된다면 일본과 한국 어업계에 치명적인 피해를 끼칠 것"이라며 "지금도 일본 후쿠시마에서 잡히는 생선에서 대량의 세슘이 검출되고 있는데, 해양 방류 이후에는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 경고했다.

장마리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 게획은 그 자체로 과학적·기술적 타당성이 결여된 채 수립됐다"며 "윤석열 정부는 이번 결정을 수수방관해서는 안되고, 168개국이 비준한 유엔해양법협약을 활용해 일본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객관성·투명성 강화"

하나금융그룹은 2024년 ESG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열여덟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에는 '함께 성장하

LG U+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AX기술과 연결 가치 비전 반영

LG유플러스가 ESG 경영실현을 위한 노력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열세번째로 발간한 올해 보고서는 국제 지속가능경

KT, 20번째 ESG보고서 발간…"AICT 기반 ESG 전략 구체화"

KT가 인공지능(AI) 기반 ESG 실천 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5년 KT ESG보고서'를 1일 발간했다. 올해로 20번째인 이번 보고서는 'AICT(인공지능과 정보통신

우리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SBTi 인증 탄소감축 목표 달성 공시

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반

LG에너지솔루션 'ESG 리포트 2024' 발간..."협력사도 탄소관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한 해 동안의 ESG 경영 활동 및 성과를 담은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리포트에는 △탄소 네거티브 전략 △협

구글 '스코프3 배출량 억제 어려워"...공급망 배출량 1년새 22% 증가

인공지능(AI)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구글의 탄소배출량이 전년 대비 11%, 2019년 이후 51% 증가했다.구글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소비량이

기후/환경

+

"온난화 때문만은 아니다"…남극 해빙 줄어든 진짜 이유는 '염분'

지구온난화가 남극 해빙을 녹이는 주된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해수 염분이 더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수면의 염분이 높을수록

열돔과 열섬에 47℃까지 치솟는 유럽...WMO "폭염은 이제 일상이 됐다"

유럽이 47℃까지 치솟는 역대급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세계기상기구가 전세계는 이제 폭염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고 경고했다. 세계기상기

때이른 폭염에 사람도 가축도 '신음'...곳곳 폭염 피해 속출

전국이 습하고 더운 '가마솥 더위'에 시달리고 있다. 2일 낮 최고기온이 36℃에 이르면서 사람과 가축도 탈진하거나 목숨을 잃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 제거 신소재...AI로 찾았다

방사성 폐기물 '아이오딘'을 제거하는 흡착 신소재를 인공지능(AI)로 찾는데 성공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류호진 교수와 한국화

[날씨] 낮에는 36℃ '가마솥 더위'...밤에는 '열대야' 기승

2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겠다.당분간 기온은 평년(최저 19∼21℃·최고 25∼29℃)보다 높겠고,

국내 화석연료 전력비중 사상 처음으로 50% 밑으로 '뚝'

태양광 발전에 힘입어 국내 화석연료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50% 이하로 떨어졌다.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가 2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올 4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